
어깨관절은 과도한 사용 및 퇴행성 변화 등으로 인해 쉽게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운전기사나 택배기사, 운동선수, 가정주부처럼 일상생활에서 어깨와 팔을 무리하게 사용하는 사람들은 어깨에 만성적인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충분히 안정을 취했음에도 불구하고 어깨에 통증이 보름 넘게 지속되고, 팔을 움직이는 것도 불편하다면 질환이 발생한 것은 아닌지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잠실 선수촌병원 김홍겸 원장은 “어깨관절의 과사용 및 퇴행성 변화는 어깨회전근개파열의 발병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어깨회전근개파열은 어깨관절 주변에 있는 4개의 근육들 중 하나 이상이 파열된 질환으로 어깨에 통증 및 기능장애를 유발한다. 어깨회전근개파열이 발생하면 어깨에 통증이 느껴지고, 팔을 들어 올릴 때 특정 각도에서 통증이 악화되기도 한다. 팔을 내릴 때는 힘이 제대로 들어가지 않아 팔이 툭 떨어지게 되는 증세도 나타날 수 있으며, 밤이 되면 통증이 악화되어 수면장애 증상도 발생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증상이 경미한 편에 속하는 어깨회전근개파열 환자는 약물치료 및 주사치료, 물리치료 등의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그렇지만 치료를 지속했음에도 효과가 나타나지 않거나, 조직의 파열 범위가 넓고 급성 파열이 동반된 경우에는 파열 부위를 봉합하는 수술이 필요하다. 어깨회전근개파열 수술 후에는 체계적인 재활 치료가 필수적이다. 이를 통해 어깨 관절의 움직임과 안정성을 회복하고, 약해진 근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전했다.
김홍겸 원장은 “어깨회전근개는 파열이 발생하면 스스로 치유되지 않으며, 오히려 파열 범위가 넓어지면서 증세가 악화될 수 있다. 또한 파열된 조직을 장기간 방치하면 파열 부위에 변성이 생겨 수술 후에도 재파열의 위험이 커지며, 만성통증 및 어깨 관절염으로도 이어질 수 있으므로 치료를 빠르게 시작하는 것이 권장된다”고 전했다.
중장년층 이상에서는 퇴행성 변화로 인해 뚜렷한 원인 없이 어깨회전근개에 파열이 진행되는 경우가 증가하게 된다. 이런 경우 오십견 및 근육통 등의 다른 질환으로 오인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