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화가 진행되면서 인체는 자연스럽게 퇴행성 변화를 겪고, 이로 인해 다양한 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무릎 관절은 관절염이 잘 생기는 부위로, 국내 65세 이상 인구의 약 80%가 무릎퇴행성관절염을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무릎퇴행성관절염은 이동 능력을 제한하고 무릎에 지속적인 통증을 유발한다. 이는 우울감이나 무기력증을 초래하며 전반적인 삶의 질이 저하될 수 있다.
무릎퇴행성관절염은 무릎뼈 끝에 자리한 뼈연골이 여러 원인으로 인해 손상되는 질환이다. 뼈를 보호하고 있는 뼈연골이 손상되면 뼈끼리 서로 충돌하여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중년 이후에는 관절에 영양 공급이 원활하게 되지 않아 퇴행성관절염의 증상이 가속될 위험이 크니 주의하는 것이 좋다.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은 “뼈연골의 손상이 심하지 않은 무릎퇴행성관절염 초기의 환자는 주사요법이나 물리치료와 같은 비수술적 치료를 적극적으로 진행하여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그렇지만 뼈연골의 대부분이 손실된 환자들은 비수술적 치료만으로는 호전이 어렵다. 이런 경우 조직을 재생하는 줄기세포 카티스템과 같은 수술이 적용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무릎뼈에도 손상이 생긴 무릎퇴행성관절염 말기의 환자는 무릎인공관절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 무릎인공관절수술은 뼈끝에 남아있는 뼈연골을 모두 제거한 후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방식이다. 이 수술은 환자 개개인의 무릎 관절 상태에 맞추어 손상된 관절의 일부분만 대체하거나 전체를 대체하는 방식으로 나뉜다”고 전했다.
김상범 원장은 “무릎인공관절수술을 받은 후에는 체계적인 재활치료를 필수적으로 거쳐야 한다. 특히 수술 후 초기 6주의 재활치료가 중요한데, 이 시기에는 무릎 관절의 강직을 방지하고, 보행 능력 회복을 위한 다리 근력 강화 운동과 유연성 및 균형감각을 높이기 위한 운동을 진행하는 것이 좋다. 이외에도 무릎 관절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발목 및 허리에도 재활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