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반월상연골 파열, 방치하면 퇴행성관절염 위험 높아진다

  • 등록 2025.08.21 14:23:34
크게보기

 

무릎 관절은 여러 조직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 허벅지뼈인 대퇴골과 정강이뼈인 경골 사이의 관절면에 자리한 무릎반월상연골은 뼈에서 뼈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과 같은 기능을 하는 구조물이다. 또한 무릎관절의 안정성 유지 및 윤활작용 등을 통해 관절의 마모를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무릎반월상연골은 무릎관절의 격렬한 움직임 및 외상, 퇴행성 변화 등으로 인해 찢어지거나 닳아 없어지는 등 손상이 생길 수 있다. 특히 무릎에 발생하는 직접적인 충격 외에도 다리가 비틀어지거나 무릎관절이 잘못 꺾어지는 부상 또한 조직이 파열되는 원인이 된다.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은 “무릎반월상연골이 파열되면 무릎에 통증 및 압통이 나타난다. 또한 찢어진 연골 조각이 관절 사이에 끼이면서 무릎을 구부리거나 펴는 동작이 불편해질 수 있다. 이외에도 무릎에 잠김 현상이나 무력감 등이 동반될 수 있으므로 무릎에 이상 증세가 지속된다면 정확하게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권장된다. 무릎반월상연골 파열은 이학적 검사 및 정밀검사로 확진한다. 검사 결과를 통해 조직의 파열 양상을 파악할 수 있으며, 치료의 방향을 정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무릎반월상연골의 파열이 경미한 편이고 통증이나 증상도 가벼운 환자는 비수술적 치료인 약물 치료 및 주사 요법, 물리치료 등을 진행하여 호전을 기대한다. 그렇지만 무릎통증이 극심하거나 조직의 파열 범위가 넓고 향후 파열이 더 진행될 가능성이 있는 환자는 수술적 치료가 고려된다”고 전했다.

 

김상범 원장은 “무릎반월상연골 파열 수술은 조직의 파열 위치와 모양, 파열 정도 등에 따라 수술 방식을 각각 적용한다. 찢어진 조직의 조각이 덜렁거린다면 무릎 관절에 끼이면서 파열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문제되는 연골 조각을 잘라내는 절제술을 진행한다. 봉합이 가능한 상태라면 봉합술을 고려하며, 조직이 거의 남아있지 않다면 이식술도 적용이 가능하다”고 전했다.

 

이어 “파열된 무릎반월상연골을 오래 방치하면 무릎에 퇴행성관절염이 빠르게 찾아올 수 있으므로 가급적 치료를 미루지 않는 것이 권장된다”고 전했다.

김효영 a1@livesnews.com
Copyright @2012 라이브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A1축산(주) 전화 : 02-3471-7887, 010-6280-7644 / E-mail : a1@livesnews.com 주소 : 서울 강남구 도곡로 1길 14 삼일프라자 829호 Copyright ⓒ 라이브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