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암과 당뇨병 환자가 지난 10년간 5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청년층의 당뇨병 환자가 두 배 이상 폭증했으며, 주요 암 수술이 수도권에 집중돼 지역 의료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예지 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2015~2025년 주요 만성질환 통계를 분석한 결과, 국내 암 환자 수는 지난 2015년 134만 4981명에서 지난해 206만 3349명으로 53% 이상 증가했다.
같은 기간 당뇨병 환자도 250만 7347명에서 396만 4960명으로 58% 이상 급증해 국민 건강을 위협하는 대표적 만성질환으로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고령층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70대 암 환자는 68%, 80세 이상은 158% 급증해 초고령 사회에서 암 부담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주요 암종의 수술 건수 또한 최근 3년간 큰 폭으로 증가했다.
폐암 수술은 지난 2022년 월평균 900건에서 지난해 1200건, 유방암은 같은 기간 2100건에서 2600건, 갑상선암은 700건대에서 1000건 이상으로 늘었다.
자궁경부암은 다소 감소했지만 여전히 매월 150여명이 수술을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 의원은 “특히 유방암과 자궁경부암은 여성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여성 대상 조기검진 확대와 예방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지역별 통계에서도 수도권 쏠림 현상이 두드러졌다.
폐암·대장암·유방암 등 주요 암 수술의 약 70%가 수도권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난 2022년 8월 폐암 수술의 수도권 비중은 73.7%, 지난해 12월에도 73.6%에 달했다.
매월 환자 10명 중 7명 이상이 수도권 병원에서 수술을 받은 셈이다.
김 의원은 “이 같은 수도권 의존 구조가 고착화되면 지방 중소병원의 수술 역량이 약화될 수 있다”며 지역 의료 접근성 강화를 촉구했다.
한편 당뇨병은 전 세대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20~29세 청년층 환자는 지난 2015년 2만 1000여 명에서 지난해 4만 5000여 명으로 110.8% 증가했으며, 60~69세 환자도 57만 명 이상, 80세 이상 초고령층은 15만 명 이상 늘었다.
김예지 의원은 “암과 당뇨는 국민 3명 중 1명이 겪는 대표적 만성질환으로, 국민의 삶의 질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사회 전체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며 “국가는 전 세대를 대상으로 한 생활습관 개선 캠페인, 조기검진 프로그램 확대, 여성암 예방접종 지원, 지역 의료 인프라 확충 등 종합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국정감사에서 암·당뇨 등 만성질환 대응 정책을 철저히 점검하고, 국민 건강권 보장을 위한 입법과 예산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