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AI 등 가축질병 발생으로 인한 가축 매몰로 악취나 토양·지하수 오염 등과 같은 환경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수질오염을 야기하는 침출수와 같은 환경피해 없이 기능성 퇴비로 활용까지 가능한 ’동물 사체 처리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초고온 미생물을 활용한 친환경공법으로 3년이나 걸리던 후속조치도 한달이면 충분해 더욱 관심을 모으고 있다.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원장 오경태)은 “친환경 공법으로 초고온 미생물을 활용한 ’동물 사체 처리기술‘이 개발됐다”고 27일 밝혔다.
일반적으로 감염에 대한 후속조치로는 불에 태우거나 묻는 매몰과 소각, 고온처리를 통해 병원체를 사멸시키는 랜더링 처리를 주로 하고 있다. 하지만 매몰이나 소각의 경우는 환경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외부적으로 열을 가해 고온멸균처리를 통해 구제역 바이러스(56℃에서 30분 이상), AI 바이러스(70℃에서 30분 이상) 등을 사멸시키는 랜더링 처리는 처리용량이 제한적이고 처리시간이 많이 걸리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2018년부터 지난 2년간 ‘가축질병대응기술개발사업’을 통해 고효율 사체처리기술 개발 연구를 지원한 결과, 주관연구기관으로 선정된 신화건설에서 친환경 동물 전염병 후속조치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를 주관한 신화건설 권영준 연구팀은 “미생물이 그 자체만으로 95℃ 이상 발효 온도를 끌어올려 유기물과 수분 그리고 악취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이며, 초고온 호기성(85~110℃) 미생물은 난분해성 물질을 효율적으로 분해하고 병원균 사멸효과가 우수해 돼지나 소를 25일 이내 완전 분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기존 매몰을 통한 가축의 처리 및 사후 관리에는 3년의 시간이 걸렸으나, 초고온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후속조치는 한 달의 시간이면 충분하다”고 설명하며 “토양이나 수질오염을 야기하는 침출수와 같은 환경피해 요소가 없으며 발효 후 남은 부산물을 다시 공법에 사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거나, 기능성 퇴비로 만들어 활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관련 오경태 원장은 “동물 전염병으로 발생되는 가축 처리 등의 비용 손실 문제가 국가적인 현안으로 제기되고 있는 시점에서, 기존 처리 방식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더 나아가 가축질병 분야 뿐 아니라 환경, 화학, 식품·사료 등 미래 환경생명 공학 산업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