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회 ‘공연예술창작산실 올해의신작’ 2월 중순 개막작 6편 선뵈

  • 등록 2025.02.13 15:56:32
크게보기

- 인공지능, 기후위기, 환경파괴 등 SF적 요소 담은 창작오페라 3편
- 현대 물리학, 고전 희극을 전통연희에 접목시킨 전통예술 2편
- 해방 직후의 시대 상황을 다룬 연극 1편 등 신선한 소재의 신작 6편 오는 14일부터 추가로 선보여

 

공연예술창작산실 올해의신작(이하 창작산실)’이 오는 14일부터 창작공연 6편을 추가로 선보인다. 2월 중순 개막작들은 인공지능(A.I.), 기후위기, 환경파괴 등 SF적 요소와 현대 물리학 등 과학적 소재를 접목하고, 고전 희극과 해방 직후의 시대 상황을 모티브 삼은 신선한 소재의 신작들로 포진해 있다.

 

먼저 SF적 요소를 오페라에 결합시킨 창작오페라 3편의 무대가 연이어 올라간다. 창작오페라 <윙키>(2월14~15일 강북문화예술회관 강북소나무홀)는 인공지능(A.I.)과 인간의 관계를 탐구하며, 한 가족의 비극적 사건을 통해 인간성과 기술의 불완전성을 조명한 작품이다. 5개월 아기의 돌연사 이후 가정용 A.I. 로봇에 살해 의혹을 제기하며 전개되는 미스터리한 사건을 중심으로, 인간과 로봇 사이의 윤리적 경계와 책임의 문제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창작오페라 <지구온난화 오페라 1.5도 C>(2월 15일 세종예술의전당, 2월 22일 당진문예의전당)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위기라는 현실적인 내용에 SF적인 요소를 더한 작품이다. 탄소가스 배출로 점점 뜨거워지는 지구의 평균온도가 1.5도에 이르면 지구의 자정능력이 상실된다는 점에 주목했다.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와 미래를 오가며 해답을 찾지만, 결국엔 인간의 탐욕이 만들어낸 결과임을 깨닫고 무기력해지는 상황을 그려낸다.

 

창작오페라 <오페라 칼레아 부탈소로>(2월 28일~3월 2일 한전아트센터 대극장)는 범지구적인 환경파괴와 해수면 상승이 다가온 미래, 인류 최후의 보루인 플로팅 시티 ‘부탈소로’에 이민 오는 여러 민족의 모습을 신화적 관점으로 창작한 작품이다. 미래를 배경으로 한 장대한 스케일의 SF 오페라로, 우리나라 고유의 판소리를 클래식 오페라에 접목해 새로운 시도를 선보인다.

이어 현대 물리학과 고전 희극을 한국의 전통연희와 접목시켜 풀어낸 전통예술 무대도 펼쳐진다. 전통예술 <연희물리학 ver.1 '원'>(2월 14~16일 구리아트홀 코스모스 대극장)은 전통연희의 예술적 표현에 현대 물리학적 원리를 융합시킨 신개념 공연이다. 상모돌리기와 줄타기의 움직임, 연희자 신체와 진법의 작동방식, 악기와 장단의 구조, 사자탈의 상징성, 그리고 연희 에너지의 원동력인 ‘오금’ 등을 물리학의 원리로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발견하는 움직임과 리듬, 에너지를 무대에서 형상화한다.

 

전통예술 <우리소리 바라지 창극 ‘돈의 신:神’>(2월 14~15일 서울남산국악당)은 그리스 희극 ‘부(富)의 신’을 모티브 삼아 우리의 전통연희극 형식으로 풀어낸 창극이다. 가난과 부의 문제, 부의 불균형, 돈의 불공정성 등 인간의 난제를 패러독스적인 웃음과 한국 전통의 해학으로 유쾌하게 풀어낸다. 모든 출연자가 연주와 연기, 춤을 넘나드는 멀티 코러스로 참여한다.

마지막으로 해방 직후의 시대 상황을 다룬 연극 작품이 공연된다. 연극 ‘동백당; 빵집의 사람들’(2월 15~23일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은 1947년 군산의 작은 빵집 ‘동백당’을 배경으로, 해방 직후 자본주의가 태동하던 격동의 시대에 남겨진 사람들이 함께 모여 찾아가는 삶의 가치와 희망을 이야기하는 작품이다. 일본인이 떠나고 직업을 잃은 조선인들, 늙고 병들어 버림받은 일본인 등 마을에 남은 사람들이 ‘협동조합’을 만들어 글과 제빵 기술을 배우면서 살아갈 방법을 찾고 연대하는 과정을 그려낸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운영하는 ‘창작산실’은 제작부터 유통까지 단계별 지원을 통해 연극, 창작뮤지컬, 무용, 음악, 창작오페라, 전통예술 등 기초 공연예술 분야의 우수 신작을 발굴하는 지원사업이다.

 

17회 창작산실의 자세한 정보는 공식 홈페이지와 SNS 채널에서 확인할 수 있다. 티켓은 아르코·대학로예술극장 홈페이지 또는 인터파크 티켓에서 예매 가능하다.

원건민 press119@naver.com
Copyright @2012 라이브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A1축산(주) 전화 : 02-3471-7887 / E-mail : a1@livesnews.com 주소 : 서울 강남구 도곡로 1길 14 삼일프라자 829호 Copyright ⓒ 라이브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