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군, 지속 가능한 어촌 위한 해양 정책 드라이브

  • 등록 2025.09.04 15:49:36
크게보기

어민 소득·정주 여건 개선 전방위 사업, 관광·교통 인프라도 확대

 

강화군(군수 박용철)이 인구 감소와 지방 소멸 위기 속에서도 지속 가능한 어촌 발전을 위해 종합 해양 정책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어민 소득 증대와 정주 여건 개선은 물론, 관광 자원 개발과 교통 인프라 확충까지 전방위적인 대책을 마련 중이다.


강화군은 한강과 임진강 하구에 위치해 바닷물과 민물이 만나는 천혜의 조건을 갖춘 지역으로, 서해의 대표적 ‘황금어장’으로 꼽힌다.


새우젓을 비롯한 다양한 수산물이 전국적으로 명성이 높지만, 어촌 역시 인구 감소와 고령화라는 위기를 피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군은 수산자원 회복과 어민 소득 향상을 위한 적극적인 사업을 추진한다.


점농어·조피볼락 치어 방류와 함께, 백합·바지락 등 종패 살포 사업을 이어가며 수산자원 증강과 소득 증대를 동시에 꾀하고 있다.


또 수산종패연구소 유치에도 나서며, 연구 인프라 구축을 통한 신품종 개발과 자원 보존에 힘을 싣고 있다.

 


어업 환경 개선을 위한 규제 완화도 추진 중이다. 현재 접경지역에 위치한 강화 해역은 어선 출입이 ‘일출부터 일몰까지’로 제한돼 있어 조업에 불편이 크다.

 

군은 성어기에 한해 출입 가능 시간을 ‘일출 전 2시간, 일몰 후 2시간’으로 연장해 달라고 국방부와 해수부에 건의했다.


정주 여건 개선을 위한 어촌·어항 재생 사업도 속도를 내고 있다.


외포권역(외포항·황청항)의 어촌뉴딜사업은 올해부터 시설 공사가 시작됐으며, 오는 2026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삼산면 장곳항과 서도면 주문도 역시 어촌 신활력증진사업이 진행 중으로, 어항 환경 개선은 물론 지역 자원을 활용한 일자리 창출과 사회혁신 프로그램이 시범 운영되고 있다.


군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어항 인프라 확충에도 약 50억 원을 투입했다.


창후항 등 3개소에는 부잔교가 새로 설치되고, 후포항 물량장 매립과 노후 시설 개선 작업이 진행된다.

 


아울러 초지항 등에는 27억원을 들여 해안 데크와 산책로를 조성, 관광객 유치를 위한 기반도 강화하고 있다.


교통 인프라 개선도 눈에 띈다.


강화군은 지난 4월 한국해운조합과 협약을 맺어 섬 주민들이 신분증 제시나 승선 신고서 작성 없이 여객선을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70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여객선 운임 지원 조례도 준비 중으로, 의회 통과 시 내년부터 본격 시행된다.


박용철 군수는 “어촌의 미래는 어민과의 소통에서 출발한다”며 “정주 여건 개선과 소득 증대를 위한 해양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활력 있는 어촌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선근 ksg2028@naver.com
Copyright @2012 라이브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A1축산(주) 전화 : 02-3471-7887, 010-6280-7644 / E-mail : a1@livesnews.com 주소 : 서울 강남구 도곡로 1길 14 삼일프라자 829호 Copyright ⓒ 라이브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