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어도 11월까지 독감 예방 접종 필요한 이유

  • 등록 2025.11.07 10:15:39
크게보기

 

최근 낮과 밤의 일교차가 커지고 쌀쌀한 기온이 지속되면서 면역력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면역력이 떨어지면 외부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신체 방어 시스템이 약해지게 되고, 독감에 노출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호흡기 질환이다. 감기와 비슷한 듯 하지만 원인은 물론 감염 경로도 다르고 치료법에도 차이가 있는 다른 질환으로 분류한다. 실제로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하나로 인해 발생하지만, 감기는 약 200여 종의 바이러스가 원인이 된다.

 

독감은 일반 감기와 달리 갑작스러운 고열과 두통, 근육통, 전신 쇠약과 같은 전신 증상이 심각하게 나타난다. 기침과 인후통, 콧물 등 호흡기 증상도 동반되는데, 어린이의 경우에는 구토나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독감을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폐렴 등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이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코, 입, 목을 넘어 폐 등 하부 호흡기로 침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영유아나 임신부, 노인, 만성 질환자 등은 더욱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독감은 감기와 달리 백신 접종을 통한 예방이 가능하다. 독감 예방 접종 시에는 3가 백신과 4가 백신이 주로 쓰이는데, 이는 몇 개의 바이러스를 예방하느냐에 차이가 있다. 3가 독감 백신은 A형 2종과 B형 빅토리아 계열 1종을 포함한다.

 

올해 독감 백신 접종은 세계보건기구(WHO) 권고에 따라 4가 백신이 아닌 3가 백신 접종을 권장하고 있다. 다만 독감 예방 접종을 고려하고 있다면 늦어도 11월까지는 백신을 맞을 필요가 있다. 이는 백신 접종 후 항체가 형성되기까지 약 2주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에스메디센터 서형민 대표원장은 “우리나라의 독감 유행은 보통 11월 말부터 시작해 겨울 기간 또는 이후까지 이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유행이 시작되기 전에 예방 접종을 하여 항체를 형성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접종을 너무 늦게 하면 유행이 이미 진행 중일 수 있고, 백신 효과가 낮아질 수 있다. 특히 65세 이상이거나 만성질환자, 어린이 등 합병증 위험이 높다면 빠르게 백신을 접종하여 독감에 대비하는 것이 좋다”고 전했다.

김효영 a1@livesnews.com
Copyright @2012 라이브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A1축산(주) 전화 : 02-3471-7887, 010-6280-7644 / E-mail : a1@livesnews.com 주소 : 서울 강남구 도곡로 1길 14 삼일프라자 829호 Copyright ⓒ 라이브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