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람의 손목 앞쪽에는 수근관이라는 손목 터널이 있다. 이 통로는 뼈와 횡수근인대에 의해 형성되며, 9개의 손가락으로 연결되는 힘줄과 정중신경이 지나간다. 정중신경은 엄지, 검지, 중지, 약지의 절반에 해당하는 부위의 감각을 제공하며, 엄지손가락 근육의 운동 기능을 담당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런데 수근관이 여러 가지 이유로 좁아지면 내부의 힘줄과 정중신경이 압박을 받아 여러 가지 이상 증세가 나타난다. 이러한 상태를 손목터널증후군이라고 한다.
손목터널증후군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우선 외상, 즉 골절 등으로 인해 손목터널의 단면이 좁아지거나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생길 수 있다. 염증이나 부종, 관절염, 임신 등도 터널 내부 공간을 좁힐 수 있는 요인에 해당한다. 이 밖에도 폐경, 갑상선기능저하증, 당뇨 등 호르몬 및 대사 질환이 손목터널증후군을 일으킬 수 있다. 무엇보다도 손목의 퇴행성 변화가 큰 영향을 미친다. 손을 과도하게 많이 사용할 경우, 손목터널을 이루는 인대 등의 조직이 변형되며 손목 터널 내부를 압박할 수 있다.
손목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은 손목터널증후군 외에도 다양하다. 다른 질환과 구분되는 손목터널증후군만의 특징은 손바닥, 특히 손가락의 감각 이상이다. 정중신경이 관장하는 영역인 엄지, 검지, 중지가 저리거나 마비된다면 손목터널증후군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손목 통증이 나타나며, 손목과 손가락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손에 힘을 주거나 물건을 쥐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러한 증상은 밤에 더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손목터널증후군이 의심될 때에는 즉시 손목의 부담을 줄이고 휴식을 취해야 한다. 보조기를 착용하거나 손목 및 손가락 스트레칭을 하면 유착을 완화하여 증상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통증이 좀처럼 가시지 않는다면 정형외과를 방문해 비수술 치료 혹은 수술적 치료를 받아야 한다. 만약 치료가 늦어지면 엄지손가락 근육이 위축되어 회복이 어려워질 수 있다.
통상 손목터널증후군 환자에게는 약물치료나 주사치료를 진행한다. 환자의 상태를 고려해 물리치료, 체외충격파 등의 치료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치료는 통증을 완화할 뿐만 아니라 염증, 부종 등을 제거하여 증상을 개선하고 손과 손목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 시행된다. 만약 6개월 이상 비수술 치료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나아지지 않는다면 그때는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수술은 손목터널을 압박하는 원인을 찾아 해소하는 방식이다. 주로 정중신경을 압박하는 인대를 절제하여 터널 내 압력을 줄인다. 과거에는 손목 피부를 직접 절개하여 손목터널에 접근했지만, 요즘에는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이 성행하고 있어 과거에 비해 출혈, 흉터 등에 대한 환자의 부담이 개선된 상황이다.
동탄 매듭병원 정형외과 김경환 원장은 “손목은 일상에서 많이 사용되는 부위로, 치료를 하더라도 손목 건강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다시 병이 재발할 수 있다. 따라서 손목터널증후군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은 후에는 항상 손목을 조심해서 사용해야 한다. 손목에 부담을 줄 수 있는 동작을 피하고 꾸준히 스트레칭을 하여 손목의 유연성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