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서울우유 문진섭 조합장, "A2+ 우유 등 프리미엄 신선우유 경쟁력 수입 개방에도 자신 있어"

  • 등록 2025.07.10 20:12:11
크게보기

프리미엄 우유시장 90% 성장...13개국에 유제품 수출 올해 30% 성장 목표

 

내년부터 FTA 우유관세가 전면 개방되는데, 국산 우유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경쟁력 강화 방안은 어떻게 준비되고 있을까요?

 

▶문 조합장= ‘24년 기준으로 수입되는 멸균우유는 전년대비 30% 증가하며 국내 우유시장의 약 3.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수입 멸균우유의 소비기한은 보통 1년으로 설정되어 있고 원유 등급 표기가 없어 제품에 대한 정보가 제한적입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인지 저렴한 가격에도 불구하고 소비자가 직접 음용하는 용도로 구매하기 보다는 대부분 B2B시장에서 유통되고 있습니다.

 

우유의 핵심 가치는 ‘신선함과 원유의 품질’이라고 생각합니다. 건강한 음식은 좋은 식재료에서 시작하듯이 건강한 우유는 신선하고 좋은 원유 품질에서 시작됩니다. 우리 조합은 지속적인 조합원 목장 관리를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원유 품질을 유지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에게 보다 신선한 우유를 공급하기 위해 국내 유업계 최초로 콜드체인시스템 적용했고, 제조일자 표기 등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해 왔습니다.

 

이처럼 수입 멸균우유가 할 수 없는 혁신 서비스 제공과 우수한 품질의 원유 경쟁력을 바탕으로 국내 소비자들에게 세계 최고 수준의 우유를 공급하기 위해 지속 노력할 것입니다.

 

 

 A2+ 우유 출시 1년을 맞이하여 소비자들 반응과 판매 매출 추세, 향후 계획은 어떻게 되는지요?

 

▶문 조합장= 네, 지난해 4월 출시돼 하루 약 25톤의 원유로 생산을 시작했던 A2우유는 현재 하루 약 50톤의 규모로 원유 생산량이 늘어났고, 원유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판매량도 꾸준히 상승해 작년 4월 판매량 일 10만개에서 올해 5월 기준 일 19만개로 약 90% 성장했습니다.

 

특히, A2우유가 장내 유익균 증가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임상결과가 국제학술지에 등재되는 등 A2우유의 효능이 과학적으로도 인정받고 있고, 실제로 우유 섭취 후 소화불편감을 겪는 소비자들에게 좋은 선택지로 손꼽히면서 대표적인 프리미엄 우유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이에 힘입어 올해 A2+우유는 제품군 확장을 통해 시장을 확대하고자 합니다. 지난 3월 180ml 카톤팩 제품을 출시하여 현재 많은 학교에 급식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에 더하여 올해 하반기에는 소용량 멸균 A2+우유를 출시할 예정입니다. 또한, 우리 아이 첫 우유 컨셉의 A2+우유와 시니어 고객을 위한 A2+우유도 출시할 계획입니다.

 

뿐만 아니라, 오는 2030년을 목표로 진행 중인 A2우유 전환, 확대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입니다. 고품질 원유 생산을 위해 투자를 지속하고, 꾸준한 소통을 통해 조합원들과 협력해 A2우유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입니다.

 

- 조합원들의 생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조합 구매사업 방향과 계획은?

 

▶문 조합장= 조합원 목장의 생산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질 좋은 사료를 합리적인 가격으로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것입니다. 내년부터 미국산 수입조사료에 대한 쿼터가 폐지되어 수입개방 초기에는 국내업체의 난립으로 인해 일부 품목의 수급 불안정이 발생하여 조사료 시장이 혼란스러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우리 조합에서는 조사료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해외 조사료 공급사와의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신규 업체를 발굴하는 등 조사료 직구매량 확대를 통해 구매원가 절감 노력을 하고 있으며, 조합원의 니즈에 맞춰 조사료 품목도 다양화하여 적기에 공급하고자 합니다.

 

또한, 사료 물류기지 신·증축으로 조사료 공급 및 재고 운영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추진해 나아가고자 합니다. 앞으로도 우리 조합은 가격 경쟁력을 갖춘 우수한 품질의 구매품을 공급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입니다.

 

- 서울우유는 원유 수급 안정화를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요?

 

▶문 조합장= 네, 조합에서는 조합원 농가의 젖소 사양관리를 돕기 위한 전문적인 낙농사양관리 컨설턴트 23명과 낙농기계 컨설턴트 6명이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사양관리 컨설턴트는 목장에 방문하여 하절기에 맞는 배합사료와 조사료 등의 배합비와 급여 방법, 낙농기술센터의 유질 성적을 기초로 한 체세포 및 세균수 관리 등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또, 우리 조합에서는 2022년부터 2026년까지 5개년 계획으로 ESG팜 친환경장비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은 목장환경개선 및 동물복지증진을 위해 추진하는 사업으로 우사 내 환기 및 고온스트레스 예방을 위한 대형 선풍기 지원, 착유실에서 발생하는 엔진오일 감축을 위한 무주유컴프레서 지원, 분뇨처리환경 개선을 위한 스키드로더 및 포크레인 등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 밖에도 정화처리시설이나 안개분무장치, 콤포스트, 태양광발전시설 등 환경과 관련된 총 25종의 장비에 대한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ESG팜 친환경장비지원사업으로 2024년까지 905농가가 지원을 받았으며, 올해에는 4월 기준 130개 목장이 신청했습니다.

 

- 우유 및 유제품 해외 수출 현황과 가격경쟁력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문 조합장= 네, 우리 조합은 2025년 현재 중국을 비롯한 미국, 베트남, 필리핀 등 총 13개 국가에 유제품을 수출하고 있습니다. 최근 해외 수출액은 매년 성장하고 있고 2025년도는 지난해 보다 약 30% 성장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지리적 접근성을 고려하여 중국을 중심으로 우유 제품 위주의 수출을 추진하였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수출 역량 강화에 매진한 결과 수출국 다변화 및 치즈, 두유, 크림도넛, 아이스크림 등 수출 품목을 확대하며 소기의 성과를 올리고 있습니다.

 

특히, 크림도넛은 미국시장에서 높은 인기를 얻어 새로운 수출 효자상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고, 앙팡 유기농 아기치즈는 베트남에서 호평을 받으며 판매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향후 조합의 수출 사업이 더욱 기대되는 것은 기존 제품 외에도 다양한 제품의 현지 런칭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수출 전용 멸균유 공급 확대, 커피/음료/두유 신규 수출 확정, B2C외 B2B시장 진출 등이 그것입니다.

 

현재 서울우유는 핵심 제품인 비요뜨와 커피포리 수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해외 바이어들의 지속적인 요청에 따라 관련 수출 업무가 진행되고 있어 빠른 시일 내 구체적인 성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K컬쳐를 넘어 K푸드에 세계가 주목하는 지금, 서울우유가 쌓아온 역량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 K유제품의 우수성을 알리고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우리 조합은 우수한 원유를 바탕으로 고품질의 유제품을 선보여 고객 만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곽동신 a1@livesnews.com
Copyright @2012 라이브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A1축산(주) 전화 : 02-3471-7887, 010-6280-7644 / E-mail : a1@livesnews.com 주소 : 서울 강남구 도곡로 1길 14 삼일프라자 829호 Copyright ⓒ 라이브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