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외충격파 치료, 다양한 근골격계 통증 개선에 도움돼… 적용 대상은?

  • 등록 2025.07.22 13:33:05
크게보기

 

장시간 같은 동작을 반복하거나 잘못된 자세를 지속하면 우리 몸의 관절, 근육, 힘줄 등에 무리가 간다. 여기에 나이, 운동 부족, 외부 충격 등까지 더해지면 어깨, 팔꿈치, 무릎, 발뒤꿈치 등 여러 부위에서 통증을 유발하는 근골격계 질환이 생기기 쉽다. 회전근개파열, 석회화건염, 족저근막염, 테니스엘보, 아킬레스건염 등이 대표적인 예다. 이런 질환은 단순 근육통으로 오해하고 방치하기 쉽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만성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근골격계 통증을 줄이고 손상된 조직을 회복시키기 위한 치료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체외충격파 치료다. 체외충격파는 말 그대로 몸 바깥에서 병변 부위로 강한 에너지의 음파를 전달해 치료 효과를 유도하는 방식이다. 통증을 유발하는 조직에 물리적인 자극을 가함으로써 혈류를 증가시키고 세포 재생과 염증 감소를 돕는다. 손상된 힘줄이나 인대, 근육의 회복을 유도하는 데 효과적이며 수술 없이 치료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접근성이 높다.

 

체외충격파는 크게 초점형과 방사형으로 나뉜다. 초점형 충격파는 에너지를 한 지점에 집중시키는 방식으로, 주로 깊은 부위나 작은 관절에 적용된다. 어깨의 회전근개파열이나 석회화건염 같은 질환에 효과적이다. 반면 방사형 충격파는 충격파가 넓게 퍼져 근육처럼 넓은 부위에 사용되며, 미세한 순환을 개선해 통증 완화와 기능 회복을 도와준다. 어떠한 충격파를 적용할 지는 치료 전 전문의가 환자의 증상과 병변의 위치 등을 고려해 결정한다.

 

체외충격파 치료는 통증 완화 외에도 조직 재생을 촉진하고, 기능을 회복시키는 데 기여한다. 치료 시간이 10~20분 내외로 짧고, 절개나 마취가 필요 없기 때문에 일상생활에 거의 지장을 주지 않는다. 치료 후 회복기간 없이 곧바로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어 바쁜 일상 속에서도 꾸준히 치료를 이어가기 좋은 방식이다. 일반적인 물리치료나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만성통증 환자에게 특히 효과가 높고, 재활치료에 한계를 느끼는 경우 대안이 될 수 있다.

 

주의할 점도 있다. 체외충격파는 비교적 안전한 치료법이지만, 모든 사람에게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니다. 출혈성 질환이 있는 환자나 심장 박동기를 사용하는 사람, 임산부, 감염된 부위나 피부가 손상된 부위, 암 진단을 받은 환자 등은 치료 전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이 필요하다. 일부 환자의 경우에는 피부 발진이나 멍, 일시적인 통증 악화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부작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사전에 안내 받아야 한다.

 

수원탄탄정형외과 조창호 원장은 “체외충격파 치료는 약물이나 물리치료로도 나아지지 않는 만성 근골격계 통증에 특히 유용한 치료법”이라며 “비침습적이고 회복이 빠르기 때문에 많은 환자들이 부담 없이 치료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반드시 환자 개인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한 뒤 적용해야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통증은 단순히 참는다고 사라지는 것이 아니며, 특히 3개월 이상 지속되거나 반복되는 통증이라면 적극적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근골격계 통증을 대수롭지 않게 넘기지 말고, 통증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해 초기에 관리하는 것이 장기적인 건강을 위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김효영 a1@livesnews.com
Copyright @2012 라이브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A1축산(주) 전화 : 02-3471-7887, 010-6280-7644 / E-mail : a1@livesnews.com 주소 : 서울 강남구 도곡로 1길 14 삼일프라자 829호 Copyright ⓒ 라이브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