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표식품, 영업사원 업무 효율성 이유 GPS로 직원 동선 추적… 사생활 침해 논란

  • 등록 2025.02.10 17:03:43
크게보기

"동선 기록 강제화, 직원 불신과 불만 증폭" 노조 없다고 영업사원들 막 대하나?

샘표식품이 영업 사원들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겠다며 GPS 기반 위치 추적을 도입했으나, 사생활 침해 및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10일 제보팀장에 따르면 일부 직원들은 회사의 강압적 정책과 불신 문화에 불만을 표하며 GPS 도입 정책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영업사원 업무 효율성 이유 GPS 도입 배경과 설명회 개최

 

샘표식품(대표 박진선)은 2025년 1월 6일과 7일, 전 직원 대상 화상 회의를 통해 새로운 '영업 활동 프로그램'과 'GPS 연동 주행 기록' 시스템을 설명했다. 회사 측은 이 시스템이 거래처 방문 여부를 확인하고, 영업 사원의 동선을 투명하게 관리함으로써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직원들 사이에서는 새로운 제도가 불신을 조장하고, 업무 효율화라는 명분으로 과도한 감시가 이루어질 가능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기존 시스템에 이미 도입된 위치 추적에 GPS 기능 추가

 

샘표식품은 이미 OBD 장치를 차량에 설치하여 주행 기록 데이터를 수집해 왔다. 회사는 이를 실비 정산 목적으로만 활용한다고 밝혔으나, 일부 직원들은 해당 데이터를 업무 감시 및 압박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GPS 기능이 추가되면서 동선 추적이 더욱 정밀해졌고, 직원들 사이에서 회사의 감시 행태에 대한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직원들의 반발: "사생활 침해와 불신 조장" 영업 평가 동선 기록으로

 

직원들은 회사가 사전 동의 없이 GPS 데이터를 축적해온 점을 강력히 비판하며, 이는 사생활 침해와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 소지가 크다고 주장하고 있다. 영업 사원의 업무 평가는 성과나 능력이 아닌 동선 기록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회사가 직원들을 불신하고 통제하려는 의도가 깔려있다고 지적했다. 일부 직원은 동선이 회사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부당한 질책을 받는 경우도 있었다고 전했다.

 

GPS 의무화, 사실상 '강제적 동의' 요구

 

샘표식품은 직원들에게 SFA(Sales Force Automation) 앱을 통해 GPS 동선 기록 동의를 받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동의하지 않을 경우 업무 보고와 수행이 불가능한 시스템으로 설계되어 있어, 이는 사실상 강제적 동의라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GPS 추적 허용 여부를 선택하는 기능이 앱에 구현될 예정이지만, 실질적으로 업무를 위해 GPS 추적을 수용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점에서 직원들의 반발이 심화되고 있다.

 

시간 단위 업무 기록 의무화, '갑질' 논란

 

2025년 2월 3일부터 개편되는 '영업 활동 일보'에는 직원들이 방문한 거래처와 GPS 상 위치가 일치해야만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점심시간이나 내근 시간 등 업무 외 시간까지 모두 보고서에 기록해야 하는 상황이다. 대형 할인점 채널의 영업팀 직원들은 시간 단위로 업무를 증명해야 하며, 업무 외 활동까지도 회사에 보고해야 하는 갑질 행태가 도를 넘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다른 기업 GPS 도입했다가 철회 사례와 법적 논란 예상

 

롯데, 크라운제과 등 일부 대기업도 GPS를 활용한 영업 관리 시스템 도입을 시도했으나, 직원들의 사생활 침해 우려와 노조의 반발로 철회한 사례가 있다. 샘표식품의 경우 노조가 사실상 부재한 상태라 직원들의 불만이 외부로 표출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현재 GPS 추적 시스템 도입이 개인정보 보호법 및 위치정보 보호법 위반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아 법적 논란이 예상된다.

 

 

직원 인권과 기업 책임의 균형 필요

 

샘표식품의 GPS 기반 동선 추적 시스템은 회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의도로 도입되었으나, 직원들의 사생활과 인권을 침해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기업이 업무 관리와 직원의 인권 보호 사이에서 균형을 잡을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법적 검토와 더불어 회사의 투명한 운영 방식이 요구되는 가운데, 향후 회사가 어떤 입장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이 사안은 단순한 기업 운영의 문제가 아니라, 직원과 회사 간 신뢰의 문제로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기업의 장기적 성장을 위해서라도 직원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법적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필요가 있다.

곽동신 a1@livesnews.com
Copyright @2012 라이브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A1축산(주) 전화 : 02-3471-7887 / E-mail : a1@livesnews.com 주소 : 서울 강남구 도곡로 1길 14 삼일프라자 829호 Copyright ⓒ 라이브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