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선근증은 40대 이상 폐경기 전 여자에서 약 40% 정도 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자궁근종에 비해 잘 알려지지 않은 병이다.
자궁을 안에서부터 밖으로 살펴 보면 제일 안 쪽에 생리혈을 만들고 아이가 착상하는 자궁내막이 있고 그것을 둘러싼 근육층이 있다. 제일 밖에는 근육을 둘러싼 얇은 장막이 있다. 자궁선근증은 자궁내막 세포가 자기 자리를 이탈해 자궁 근육층에 착상해 증식한 병이다. 병이 진행되면 자궁이 붓고 생리통증과 생리과다가 심해져 일상 생활이 많이 어려워 지기도 하는 병이다.
자궁근종과 달리 경계가 뚜렷한 혹이 아니라 자궁이 붓는 병이기 때문에 수술로 병변만 제거하기 어려워 자궁선근증 환자들 중 상당수는 자궁적출 수술을 받게 된다. 그러나 자궁적출은 장기 적출에 수반하는 여러 수술 부작용 및 우울증 등의 합병증들이 있어 쉽게 받을 수 없으며 특히 임신 계획이 있으면 선택하기 어렵다.
서울하이케어의원 김태희 원장은 “수술 이외의 방법으로 자궁선근증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자궁동맥색전술과 하이푸(고강도초음파집속술)등이 있는데 대학병원에서는 영상의학중재적 시술이라고 영상의학과에서 하기 때문에 수술에 비해서는 환자들에게 잘 소개되지 않았던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거대자궁선근증은 복강경 계열 수술이 어려워 개복수술을 해야 하며 자궁동맥색전술과 하이푸로 치료하는 것도 난이도가 높아 개복을 통한 자궁적출 수술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고 전했다.
김태희 원장은 “자궁동맥색전술과 하이푸와 같은 치료들은 등장한지 30년 가까이 되면서 처음 등장했을 때에 비해 임상적으로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다. 2023년에 Cai 등에 의해 Scientific reports라는 저널에 개제한 논문에 따르면 14.6cm x13cm 크기의 골반 내 공간을 다 차지하는 거대자궁선근증을 하이푸로 치료한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자궁은 여성에게 제2의 심장이라고 한다. 자궁적출에 대한 대안으로 여러 미세침습 비침습 방법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미레나와 하이푸 병행치료, 부분색전술과 하이푸 병행 치료 등 기존의 치료법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한 방법들도 꾸준히 제시되고 있어 거대자궁선근증에 대한 자궁보존 가능성이 앞으로 점점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