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 통증에 효과적인 도수치료, 정밀한 진단과 맞춤형 치료 중요

  • 등록 2025.05.21 11:26:42
크게보기

 

장시간 의자에 앉아 일하거나 공부를 하는 생활이 일상이 되면서, 목과 어깨, 허리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스마트폰과 컴퓨터 사용이 보편화된 지금, 자세가 무너지면서 생기는 근골격계 질환은 성인뿐만 아니라 성장기 청소년에게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잘못된 자세나 생활 습관은 시간이 지날수록 통증을 심화시키고, 심하면 만성적인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게다가 근골격계 질환은 단순히 한 부위의 통증에서 그치지 않는다. 신체 균형이 무너지고 근육과 인대, 관절의 정렬이 틀어지면 일상적인 움직임조차 불편해지고, 특정 부위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습관이 생겨 또 다른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특히 사지나 척추 주변의 연부조직이 긴장된 상태로 유지되면 통증은 점점 심화되고 자연 회복이 어려워진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비수술적 치료 방법 중 하나가 도수치료다. 도수치료는 치료사의 손을 이용해 뭉친 근육을 이완시키고 틀어진 관절을 바로잡아 신체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치료다. 수술이나 약물 없이 신체의 정렬과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허리디스크, 목디스크, 자세 불균형, 두통, 어깨 결림, 관절통 등 다양한 증상에 적용될 수 있다. 근본적인 원인에 접근하여 신체 구조의 정상화를 통해 통증 자체를 줄여주는 방식이다.

 

하지만 도수치료는 단순히 ‘마사지’처럼 여겨서는 곤란하다. 잘못된 방식으로 진행되면 오히려 통증이 악화되거나, 기존의 구조적 문제를 더 심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환자의 신체 상태에 대한 충분한 이해 없이 적용되는 도수치료는 효과가 없을 뿐 아니라 위험하기도 하다. 특히 목이나 척추와 같이 신경과 밀접한 구조일수록 정밀한 진단과 계획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수치료가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이 필수적이다. 치료 전 숙련된 전문의의 검진을 통해 통증의 원인을 명확히 파악하고 구조적 이상이 어디에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이후 치료사의 숙련도와 해부학적 지식, 경험에 따라 치료 방향이 결정되고, 개인의 상태에 맞는 맞춤형 치료 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이처럼 계획적이고 과학적인 접근이 이루어질 때 도수치료는 근골격계 통증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우장산 큰나무재활의학과 설보미 원장은 “도수치료는 단순한 통증 완화를 넘어서, 신체 구조의 회복과 기능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치료법이다. 하지만 단순히 근육과 관절을 압박하거나 이완시킨다고 해서 그 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신체 전체의 균형을 고려하여 섬세하게 진행해야 한다. 통증을 유발한 자세와 습관, 근육의 협응 패턴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므로, 환자의 신체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고 해부학적 지식이 충분한 전문가와 함께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효영 a1@livesnews.com
Copyright @2012 라이브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A1축산(주) 전화 : 02-3471-7887, 010-6280-7644 / E-mail : a1@livesnews.com 주소 : 서울 강남구 도곡로 1길 14 삼일프라자 829호 Copyright ⓒ 라이브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