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디스크 치료, 비수술적 방법으로도 충분할까?

  • 등록 2025.07.03 15:16:33
크게보기

 

최근 들어 허리 통증을 호소하는 이들이 눈에 띄게 늘고 있다. 책상 앞에 앉아 있는 시간이 길어지고, 운동 부족으로 근육이 약해지면서 척추에 과도한 부담이 가해지는 것이다. 처음에는 가벼운 뻐근함이나 일시적인 통증으로 시작되지만, 이를 방치하면 허리디스크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자세가 좋지 않거나 무거운 물건을 자주 드는 생활 패턴이라면 허리디스크 발병 위험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잠실 선수촌병원 신경외과 이동엽 원장은 “증상이 경미한 편에 속하는 허리디스크 환자는 약물 복용 및 물리치료, 도수치료 등의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호전을 기대한다. 디스크가 파열되었다고 해도 중증 증상이 없다면 비수술적 치료인 신경박리시술을 먼저 적용하고, 이후 약물 복용 및 물리치료를 집중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경우에 따라 신경주사치료가 추가로 시행되기도 하는데 신경주사치료는 신경차단술과 같은 의미의 치료로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정도로 증상이 심한 허리디스크 환자들에게도 적용이 가능하다. 신경주사치료는 부어오른 신경 근처에 주사바늘을 주입한 후에 약물을 직접적으로 뿌려주는 방식으로 탈출, 파열된 디스크 조각의 크기가 작아지거나 없어지게 하는 근본적인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2~3군데의 정확한 타게팅으로 충분한 호전을 거둘 수 있으며, 증상이 극심한 환자는 1~2주 간격으로 4~5회 정도 치료를 받는 것이 권장된다”고 전했다.

 

이동엽 원장은 “허리디스크로 인한 허리 통증을 개선하기 위해 운동을 시작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렇지만 급성기 허리디스크 환자는 한두 달 정도 치료에 전념하고, 신체를 무리하게 사용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약한 허리디스크에 균열이 발생하고, 일부 탈출이 생긴 상태에서 무리하게 운동을 하는 것은 불안정한 디스크에 부담을 주어 증상이 더욱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통증이 가라앉고 균열이 생긴 디스크가 안정되고 굳은 후에 본격적으로 운동을 시작해도 절대 늦은 것이 아니다”고 전했다.

 

이어 “허리디스크 환자는 금연을 하는 것이 좋다. 담배를 피우면 신체의 혈관들이 수축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추간판에 영양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추간판에 영양 공급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치료를 진행해도 증상이 쉽게 나아지지 않기도 하니 가급적 금연을 하는 것이 권장된다”고 전했다.

김효영 a1@livesnews.com
Copyright @2012 라이브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A1축산(주) 전화 : 02-3471-7887, 010-6280-7644 / E-mail : a1@livesnews.com 주소 : 서울 강남구 도곡로 1길 14 삼일프라자 829호 Copyright ⓒ 라이브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