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활동 중 흔히 발생하는 전방십자인대 파열 주의

  • 등록 2025.07.24 10:29:42
크게보기

 

최근 스포츠 활동은 전문 선수뿐 아니라 일반인들도 건강 증진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일상적으로 즐기는 활동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스포츠 활동은 활동량이 많은 만큼 부상의 위험도 함께 수반되며, 그중에서도 흔히 발생하는 대표적인 손상이 바로 전방십자인대(ACL) 파열이다.

 

전방십자인대는 무릎 관절 내부에서 대퇴골과 경골을 연결하며, 관절의 유연성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핵심 구조물이다. 이 인대는 점프 후 착지, 갑작스러운 방향 전환, 충돌 등의 상황에서 무릎에 과도한 회전력 또는 전방 힘이 가해질 때 쉽게 손상될 수 있다.

 

전방십자인대 파열의 주요 증상은 운동 중 ‘뚝’ 하는 파열음과 함께 발생하는 급성 통증, 빠른 부기(부종), 무릎의 불안정감, 그리고 보행 시의 불편함 등이다. 초기에는 단순 염좌로 오인될 수 있으나, 이를 방치할 경우 무릎 관절의 불안정성이 지속되고, 장기적으로는 반월상 연골판 손상이나 퇴행성 관절염 등 2차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어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치료는 손상의 정도와 환자의 활동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부분 파열이거나 관절의 안정성이 유지되는 경우에는 보조기 착용, 물리치료, 주사치료 등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통증 완화와 기능 회복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인대가 완전히 파열되었거나, 관절의 불안정성이 뚜렷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며,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전방십자인대 재건술(ACL reconstruction)이 시행된다. 이는 손상된 인대를 제거하고 자가건 또는 타가건을 이식하여 새로운 인대를 만들어 무릎 관절의 기능을 복원하고 재손상을 예방하는 수술이다.

 

세종 서울현병원 김방현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전방십자인대 파열은 단순한 통증만으로는 진단이 어려워 MRI와 같은 정밀 검사를 통해 파열 여부와 손상 정도를 확인하고, 그에 맞는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는 무릎 관절의 장기적인 건강을 지키는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김효영 a1@livesnews.com
Copyright @2012 라이브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A1축산(주) 전화 : 02-3471-7887, 010-6280-7644 / E-mail : a1@livesnews.com 주소 : 서울 강남구 도곡로 1길 14 삼일프라자 829호 Copyright ⓒ 라이브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