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통은 흔히 피로나 스트레스, 수면 부족 등으로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진통제를 복용하면 호전되지만, 약을 먹어도 개선되지 않고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면 단순 두통이 아닌 다른 원인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특히 목에서 비롯되는 경추성두통일 가능성이 높다.
경추성두통은 편두통과 달리 목에서 시작해 머리로 전이되는 특징을 갖는다. 원인으로는 목디스크, 일자목, 거북목 같은 경추 질환이 대표적이다. 바르지 못한 자세가 반복되면 경추의 정상적인 C자 곡선이 무너지고, 디스크가 압박을 받으면서 신경이 자극돼 두통이 발생한다. 최근 들어 장시간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사용으로 인해 젊은 층에서도 환자가 늘고 있다.
특히 고개를 앞으로 숙이거나 장시간 같은 자세로 앉아 있는 습관은 목에 과도한 하중을 준다. 수험생처럼 책상 앞에 오래 앉아 있는 경우나 하루 종일 모니터를 바라보는 직장인에게서 흔히 발생한다. 목 근육과 인대가 긴장하면 혈류 흐름이 저하되고 신경이 자극되면서 반복적인 두통과 어깨 결림, 팔 저림 같은 증상으로 이어진다.
문제는 이를 단순 피로나 긴장성 두통으로 오인해 치료를 미루는 경우다. 경추성두통은 방치할수록 신경 압박이 심해져 만성화되고, 치료 기간도 길어진다. 두통이 잦고 약으로도 호전되지 않는다면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X-ray나 MRI 검사를 통해 경추 구조 이상 여부를 확인하면 치료 방향을 세울 수 있다.
안양 평촌올바른통증의학과 정인준 원장은 “경추성두통은 조기 발견 시 비수술적 치료만으로도 충분히 호전 가능하다. 대표적인 치료법으로 도수치료가 있다. 도수치료는 전문 치료사가 손으로 근육과 관절을 직접 자극해 긴장을 완화하고 틀어진 척추 배열을 교정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경추에 집중된 하중을 분산시키고 신경 자극을 줄여 두통 원인을 개선한다. 약물 부작용의 위험이 적고, 고혈압이나 당뇨 같은 만성질환자도 비교적 안전하게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단, 모든 환자에게 적합한 것은 아니므로 개인의 상태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외에도 약물치료, 물리치료, 주사치료 등 환자의 증상에 맞춘 다양한 비수술적 치료가 병행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환자가 두통을 단순히 참지 않고, 조기에 전문 진료를 받아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다”고 전했다.
정인준 원장은 “경추성두통은 치료와 함께 생활습관 관리가 병행되어야 한다. 장시간 앉아 있을 때는 모니터를 눈높이에 맞추고, 틈틈이 목과 어깨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좋다. 높은 베개 사용을 피하고,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도 경추 부담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
이어 “약을 먹어도 나아지지 않는 두통은 단순 두통이 아니라 신체의 이상 신호일 수 있다. 정확한 원인을 확인하고 조기에 치료한다면 경추성두통은 충분히 관리할 수 있으며,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재발까지 예방할 수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