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들은 '축산유통정보' 어플 내 '여기고기' 서비스를 활용해 가격 비교를 통한 합리적인 축산물 소비를 할 수 있다.](http://www.livesnews.com/data/photos/20250207/art_17394046956141_61d69d.png)
축산물품질평가원이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축산물 생산부터 유통, 소비까지 전 과정의 혁신적인 변화를 이끌어 국민 편익 증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특히 소비자 물가 절감, 축산농가 수익과 편익 증대, 행정 효율화 등에서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소비자들은 '여기고기'을 통해 장보기 부담을 덜 수 있다. 축산유통정보 앱에서 제공되는 ‘여기고기’서비스는 사용자 위치 기준 10km 반경의 축산물 판매장 실시간 가격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은 가격 비교를 통한 합리적인 소비를 할 수 있게 되어 축산물 구매 비용을 19.0% 절감하는 효과를 보였다.
축산농가의 생산 현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스마트 축산도 눈에 띈다. 농장 맞춤형 ICT 장비와 솔루션 패키지를 2023년 10개에서 2024년 24개 모델로 확대 보급했으며, 스마트 축산 데이터모델 국가표준(KS)’ 가이드북을 제작했다. 올해는 국가표준 제정과 함께 새롭게 구축되는 '스마트 축산 빅데이터 플랫폼'으로 디지털 활용을 확대할 계획이다.
축산유통 분야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면서 민간과의 협업 또한 활발하게 진행했다. '전자출하시스템' 도입으로 복잡했던 도축 신청 절차를 4단계에서 1단계로 간소화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약했다. 도축장과 협업으로 기존 시스템과의 연계를 추진하여 농가 편의성과 도축장 시간 절감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노력했다. 또한 국내산 우수 스마트 축산 기자재 수출 지원을 위한 수출지원단을 구성하여 해외 진출을 적극적 지원하고 있으며, 11개 민간 기업의 해외 진출을 적극 돕는다. 축산 데이터 개방을 통한 다양한 민간 기업과의 협력으로 축산 데이터를 활용 벤처기업 플레이벤치는 24년 농림축산식품 창업경진대회에서 우수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축산유통정보 '다봄' 페이지에 접속하면 축산물 수급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http://www.livesnews.com/data/photos/20250207/art_17394046972365_bffe0e.png)
데이터를 통합하면서 행정 부분의 효율화도 놀랍게 진척되고 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9개 기관 13종의 데이터를 통합한 '축산정보e음'을 통해 실시간 방역 관리 체계에 도움을 준다. 이를 통해 가축 질병 의심 농가 발생 시 역학조사 시간을 최대 4일까지 단축하여 질병 확산 방지 효과를 높였다. 유통 정보 조회, 통합 증명서 발행까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전자문서지갑 시스템인 ‘축산물원패스’ 서비스는 2024년 농식품부 적극 행정 우수 사례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아울러 13개 기관의 데이터를 연계한 'KAPE 예측 모형'을 개발하여 축산물 수급 상황을 정확하게 예측하고, 이를 '축산유통정보 다봄' 서비스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수급 관련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돕고 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앞으로도 축산물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한다.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시스템 구축, 스마트 축산 기술 도입 확대, 축산물 이력제 고도화 등을 통한 축산업의 경쟁력 강화로 국민에게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축산물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