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건설기계(Hyundai CE)가 이스라엘군의 팔레스타인 주택 철거 작전에 사용된 사실이 알려지며 인권 침해 논란에 휩싸였다.
지난 7일(현지시각) 아랍뉴스 재팬(Arab News Japan)에 따르면, 국제앰네스티와 아랍세계민주주의센터 등 인권단체들은 이스라엘군이 점령지인 서안지구(West Bank)에서 현대건설기계 장비를 사용해 팔레스타인 민간 건물을 철거한 사례를 다수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러한 철거로 인해 수백 명의 팔레스타인 주민이 삶의 터전을 잃고 강제 이주를 당했으며, 이는 국제법상 명백한 위반이라고 주장했다.
보이콧 투자철회 제재 운동(BDS·Boycott, Divestment and Sanctions) 측은 현대를 불매운동 대상 기업으로 공식 지정하고, 이스라엘 내 장비 유통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국제앰네스티 몬세 페레르(Monse Ferrer) 대표는 지난달 27일 성명을 통해 “현대 장비가 사용된 철거로 약 250명의 팔레스타인인이 강제로 이주당했고, 수백 명의 생계가 타격을 입었다”며, “이는 이스라엘의 아파르트헤이트 체제를 유지하는 데 사용되는 주요 수단 중 하나”라고 비판했다.
현대건설기계는 2023년 3월 “이스라엘 정착촌 건설사업에 관여하지 않는다”는 공식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인권 실사 절차의 구체적인 내용이나, 자사 장비가 국제법 위반 행위에 사용되지 않도록 하는 사전 방지 조치에 대한 설명은 제공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인권단체들은 “형식적인 부인만으로는 책임을 면할 수 없다”며, 현대가 책임 있는 기업 활동을 위한 실질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실제로 소셜미디어에는 현대 로고가 선명한 장비가 팔레스타인 주택 철거에 사용되는 영상이 여럿 공유되며 여론의 비판이 커지고 있다.
국제앰네스티 측은 “HD현대는 이스라엘에서 제품 유통을 즉각 중단하고, 국제법을 위반하는 데 사용되지 않도록 인권 실사 절차를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현대건설기계 관계자는 “ 현장에서 사용된 장비는 중고 장비로 추정되며 제조사에서 중고 제품의 용처와 재산권에 대해 관여할 수 없다. 이스라엘에 제품 수출을 중단하고, 분쟁지역에 실사단을 파견해 장비를 회수하라는 등의 요청은 임직원의 안전과 민간 기업 경영권 측면에서 무리한 요구”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