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디스크, 비수술 치료로 통증 잡는다…생활습관 개선 중요

  • 등록 2025.07.10 15:28:37
크게보기

 

현대인의 대표적인 고질병 중 하나인 ‘허리디스크(요추 추간판 탈출증)’가 최근 들어 20~30대 젊은 층에서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디지털 기기 사용 증가, 장시간 앉아 있는 생활습관, 운동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척추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부천 바른몸의원 정형외과 박세진 대표원장은 “허리디스크는 단순 요통과는 달리 다리 저림, 방사통, 감각 이상 등 다양한 신경 증상을 동반할 수 있다. 초기 대응이 늦을 경우 만성화되거나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줄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허리디스크는 척추 사이에 위치한 추간판(디스크)이 손상돼 돌출되거나 터지면서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이다. 주로 잘못된 자세로 인해 요추에 반복적인 압력이 가해질 때 발생하며, 무거운 물건을 잘못 드는 행위나 갑작스러운 외부 충격도 원인이 될 수 있다.

 

허리디스크는 단순히 허리가 아픈 것을 넘어 엉덩이부터 다리로 내려가는 통증(방사통), 다리 저림, 감각 저하, 허리 움직임 제한, 기침 시 통증 악화 등의 신경 증상을 동반한다. 증상이 초기에는 허리 뻐근함 정도로 느껴지지만, 추간판 탈출이 진행되면 신경을 압박하면서 다리까지 통증이 뻗치게 된다. 심한 경우 보행 장애나 대소변 장애까지 동반될 수 있어 조기에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박세진 원장은 “허리디스크의 치료는 증상의 정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대부분의 허리디스크는 수술 없이도 충분히 호전될 수 있으며, 수술은 마지막 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선택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표적인 허리디스크 비수술 치료에는 약물치료와 물리치료를 비롯해 도수치료, 체외충격파, 신경차단술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증상과 체형을 고려한 맞춤형 재활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통증 개선과 재발 방지에 효과를 보고 있다. 수술이 필요한 경우에는 미세현미경 디스크 제거술이나 내시경 디스크 시술 등 최소 침습 방법이 적용되어 회복 기간과 부담을 줄일 수 있다”고 전했다.

 

박세진 원장은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평소 허리를 보호하는 생활습관이다. 장시간 앉아 있는 생활을 피하고, 중간중간 스트레칭을 해주며, 무거운 물건을 들 때는 무릎을 굽히는 등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전했다.

김효영 a1@livesnews.com
Copyright @2012 라이브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A1축산(주) 전화 : 02-3471-7887, 010-6280-7644 / E-mail : a1@livesnews.com 주소 : 서울 강남구 도곡로 1길 14 삼일프라자 829호 Copyright ⓒ 라이브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