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운 겨울이 지나고 봄이 찾아오게 되면서 가벼운 옷차림과 함께 야외활동을 즐기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습진’ 환자들에게는 이 시기가 반갑지 않다. 봄에는 건조하고 습한 기온, 꽃가루와 미세먼지, 자외선 등으로 인해 습진이 새롭게 발병하거나 악화될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
‘습진’은 여러가지 증상의 피부 염증을 포괄적으로 통칭하는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이다. 주된 증상은 피부에 발적, 부종, 가려움증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증상이 주로 발병하는 부위는 팔과 다리에서 나타나지만, 신체 어디에서든 발병한다는 특징이 있다.
주된 증상인 가려움증은 참지 못해 긁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피부에 상처 유발, 진물과 딱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점차 주위 피부가 두꺼워지고 색소침착이 일어날 수 있다.
습진은 염증의 정도, 발병 시기에 따라 종류가 나뉜다. 심한 부종, 홍반과 진물 등이 나타나는 급성(acute) 습진, 피부가 두꺼워지며 각질이 발생하는 만성(chronic) 습진, 급성과 만성의 중간 정도 단계로 두 가지 특성이 함께 나타나는 아급성(subacute) 습진 등으로 나뉘게 된다. 이외에도 발병 원인 및 부위에 따라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지루성피부염 등으로 나뉜다.
습진은 만성 질환 특성상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며, 다양한 발병 원인으로 인해 나타나게 된다. 주로 환경적 요인, 스트레스, 유전적 요인 등이 복합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습진의 치료는 환자 본인이 올바른 치료를 성실히 임한다면 충분히 호전될 수 있다.
해당 질환에 흔히 적용되고 있는 대증 치료법은 약제 치료로, 보습제,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 연고 등을 사용해 증상을 완화하고, 심한 경우 면역 억제제를 처방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치료법은 일시적인 증상 완화는 기대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쉽게 재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생기한의원 안산점 정혜진 대표원장은 “이에 한의원에서는 습진의 주된 발병 원인은 면역력 저하와 외부 자극에 의해 나타난다고 보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치료법을 적용하고 있다. 한의원 치료에는 환자 개인별 체질과 증상에 맞는 한약 및 약침 치료를 통해 체질 개선 및 피부의 면역력과 재생력을 높여준다. 또한 피부 재생에 도움이 되는 한약재를 직접 환부에 투입하는 약침 치료를 통해 피부의 재생력을 높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러한 한의원 치료는 추후에 나타날 수 있는 재발을 예방할 수 있으며, 습진 질환 외에도 건선, 여드름 등 다양한 피부질환에 적용되고 있다”고 전했다.
정혜진 원장은 “습진의 빠른 치료를 위해서는 평상시 환부의 자극을 주는 행위는 금하고, 충분한 건조와 보습을 생활화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건강한 식습관, 규칙적인 운동과 숙면, 적정시간의 반신욕을 통해 신체 건강을 유지해 주기 바란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