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관협착증, 방치하면 마비까지… 조기 진단만이 답

  • 등록 2025.05.16 09:00:01
크게보기

 

단순한 허리 통증으로 여기기 쉬운 척추 질환, 하지만 허리디스크 못지않게 많은 이들을 괴롭히는 질환이 바로 ‘척추관협착증’이다. 척추관협착증은 척추 주변의 인대, 근육, 뼈, 관절 등이 점차 두꺼워지면서 척추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을 좁아지게 만드는 질환이다. 좁아진 척추관은 신경을 압박하여 극심한 통증을 유발한다.

 

척추관협착증으로 인한 통증은 특징적으로 허리를 펴거나 오랫동안 걸을 때 심해지고, 엉덩이에서부터 허벅지, 종아리, 발끝까지 저리거나 쑤시는 듯한 통증이 나타난다. 특히 10분 이상 걷기가 힘들 정도로 다리가 아프거나, 쪼그려 앉으면 일시적으로 통증이 완화되는 경험을 했다면 척추관협착증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

 

서울역 서울에이스통증의학과 고원혁 원장은 “허리 통증과 함께 뻣뻣함이 느껴지는 척추관협착증은 활동량이 늘어날수록 증상이 악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반대로 휴식을 취하면 통증이 다소 완화되는 것이 일반적인 특징이다. 하지만 증상이 심각해질 경우에는 단순한 통증을 넘어 다리 마비, 근육 경련, 감각 저하, 근력 약화 등으로 진행될 수 있다. 더욱이 보행 거리가 현저히 줄어들고, 넓은 범위에서 감각이 소실되거나 이상 감각이 느껴질 수 있으며, 심지어 배변 및 배뇨 기능에 장애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처럼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척추관협착증은 조기에 정확하게 진단하고 신속하게 치료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초기 진단 시에는 약물 치료, 물리 치료, 운동 치료, 도수 치료, 주사 치료와 같은 보존적인 치료만으로도 상당한 증상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존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 경우에는 신경차단술과 같은 비수술적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다”고 전했다.

 

고원혁 원장은 “신경차단술은 C-arm이라는 특수 영상 증폭 장비를 이용하여 통증을 일으키는 미세한 신경 가지를 정확하게 찾아낸다. 문제가 되는 신경 주변에 약물을 주입함으로써 염증과 부종을 가라앉히고, 결과적으로 통증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는 치료 방법이다. 시술 시간이 짧고 전신 마취나 피부 절개가 필요하지 않아 시술 후 일상생활로 빠르게 복귀할 수 있다”고 전했다.

 

척추관협착증은 개인마다 발병 원인과 질환의 진행 정도가 매우 다양하므로, 환자 개개인의 상태에 맞춘 맞춤형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치료 방법을 결정하기 전에는 숙련된 의료진과의 충분한 상담과 정밀 검사를 통해 통증의 근본적인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또한 안전하고 만족스러운 치료 결과를 위해서는 첨단 정밀 진단 장비를 갖추고 있는 의료기관을 선택하는 것이 현명한 판단이다.

김효영 a1@livesnews.com
Copyright @2012 라이브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A1축산(주) 전화 : 02-3471-7887, 010-6280-7644 / E-mail : a1@livesnews.com 주소 : 서울 강남구 도곡로 1길 14 삼일프라자 829호 Copyright ⓒ 라이브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