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내렌즈삽입술 후 수년이 지나 시야가 뿌옇게 흐려지고, 빛이 퍼져 보이는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있다. 정밀 검진 결과 백내장이 진행된 상태로, 원인은 눈 속에 삽입된 렌즈가 수정체를 오랫동안 자극한 데 있었다. 라식이나 라섹 대신 안내렌즈삽입술을 선택하는 환자가 늘고 있지만, 후방렌즈 삽입 시에는 ‘백내장’이라는 예기치 못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안내렌즈삽입술에서 사용하는 후방렌즈는 홍채와 수정체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렌즈 크기가 맞지 않거나 위치가 불안정할 경우 렌즈가 수정체를 지속적으로 자극해 혼탁이 유발될 수 있다. 특히 눈 속 공간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렌즈가 수정체에 너무 가까워지며 미세한 접촉이 반복되고, 이로 인해 수정체 전면부에 국소적인 손상이 발생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러한 손상이 축적되면 수정체 단백질이 변성되며 백내장이 형성된다.
이러한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수술 전 정밀검사를 통해 안구 길이, 렌즈가 위치할 공간의 깊이, 수정체와의 거리를 정확히 측정하고, 환자의 눈에 꼭 맞는 렌즈 크기와 디자인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수정체가 나이가 들수록 점점 두꺼워지고 뒤로 밀리는 경향이 있어, 수술 당시에는 문제가 없던 렌즈 간격이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좁아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렌즈가 수정체에 접촉하게 되면 백내장이 새롭게 발생할 수 있어, 수술 후 수년이 지나서도 꾸준한 정기검진과 정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이처럼 렌즈삽입술에서 백내장 위험을 최소화하려면, 후방렌즈 삽입 시 수정체를 자극하지 않도록 충분한 간격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며, 수술 후에도 정기적인 관찰을 통해 수정체 상태의 미세한 변화를 조기에 파악할 수 있는 관리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단순히 렌즈삽입수술의 가격이나 시술 속도, 비용만을 비교하기보다는, 수술 전후 전 과정을 세심하게 관리할 수 있는 의료진의 숙련도와 경험을 우선적으로 따져봐야 한다.
강남조은눈안과 김준헌 원장은 “후방렌즈는 각막에는 안전하지만, 수정체에 가까이 위치하는 만큼 렌즈 선택과 위치 조절이 매우 중요하다”며 “렌즈가 수정체에 닿거나 근접하면 백내장이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수술 전 공간 분석과 렌즈 크기 결정이 핵심이고, 수술 후에도 꾸준한 경과 관찰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