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니스엘보, 치료 늦어지면 만성질환 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 등록 2025.04.01 14:12:09
크게보기

 

팔꿈치에 시큰거리는 통증이 계속되어 일상생활에 큰 불편함을 겪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대부분 청소 및 설거지와 같은 집안일을 하면서 팔을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팔을 이용한 운동을 무리하게 하는 것이 팔꿈치통증의 주요 발병 원인이 된다.

 

테니스엘보는 팔꿈치통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질환으로 꼽힌다. 테니스를 치는 사람들에게 주로 발생한다고 하여 이러한 이름으로 흔히 불리지만 테니스를 치지 않은 일반인 환자가 더 많은 편이다.

 

의학용어로는 외상과염이라 불리는 이 질환은 팔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손목부터 팔꿈치까지 이어지는 힘줄에 염증이 발생하거나 조직의 일부가 손상되면서 발생하며, 외부의 강한 충격보다는 조직의 반복적인 미세 손상의 누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잠실 선수촌병원 김홍겸 원장은 “테니스엘보 초기에는 팔꿈치에 경미한 통증이 느껴지는데, 이때 충분히 안정을 취하지 않고 계속 팔을 무리하게 쓰면서 질환을 방치하면 증상이 악화되어 통증도 점차 극심해진다. 특히 팔꿈치 바깥쪽으로 통증이 집중되며, 물건을 들어 올리거나 팔을 돌리는 동작조차 어려워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테니스엘보는 초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것이 중요하다. 통증이 심하지 않은 초기 테니스엘보 환자는 물리치료 및 주사치료, 약물치료 등의 비수술적 치료를 진행하여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보호대를 착용하여 팔의 부담을 줄여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

 

김홍겸 원장은 “테니스엘보가 오래 지속되면 힘줄이 비정상적인 상태로 변형되어 만성질환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비수술적 치료를 수개월 지속해도 호전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수술을 고려하는 환자들도 많은 편이다. 테니스엘보 수술 병변 부위의 힘줄과 근육, 인대 등의 상태를 꼼꼼하게 검사한 후에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시행해야 한다”고 전했다.

김효영 a1@livesnews.com
Copyright @2012 라이브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A1축산(주) 전화 : 02-3471-7887, 010-6280-7644 / E-mail : a1@livesnews.com 주소 : 서울 강남구 도곡로 1길 14 삼일프라자 829호 Copyright ⓒ 라이브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