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학 합동 방역대책위원회, 돼지 소모성 질병·구제역·돼지열병 방역 혁신 총력

  • 등록 2025.07.09 14:54:43
크게보기

양돈 생산성 향상 위한 '미국식 자율 방역 모델' 도입 및 '돼지열병 청정국' 추진

 

2025년 7월 8일 대한민국 양돈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농림축산식품부와 (사)대한한돈협회는 JW메리어트 호텔에서 '2025 민·관·학 합동 돼지 방역대책위원회' 전체 회의를 개최하고, 돼지 소모성 질병(PED, PRRS), 구제역, 돼지열병의 효율적인 방역 관리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혁신적인 대책을 논의했다.

 

 

손세희 대한한돈협회장과 최정록 농식품부 방역정책국장 등 민·관·학 전문가 30여 명이 참석한 이번 회의는 그간의 추진 경과를 공유하고, 향후 운영 계획 및 구체적인 방역 관리 개선 방안을 발표하며 양돈업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그간의 노력과 주요 성과, 현장 중심 방역 체계 구축 시동

 

이번 회의에서는 지난 분과 및 전체 회의를 통해 논의된 PED·PRRS 및 구제역 대책반의 추진 성과가 상세히 보고됐다. 그동안 위원회는 PRRS 국내 발생 현황 설문조사를 통해 지역 내 순환 감염 우려를 확인하고, 바이러스 변이로 인한 백신 효능 저하 문제를 인식했다. 이에 따라 △실시간 질병 발생 정보 시스템 구축 △농장 단위 표준 방역 매뉴얼 제작 △현장 수의사 주도 모니터링 강화 등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PED·PRRS 방역에서 다음과 같은 주요 성과들이 나타났다. 2025년부터 PED·PRRS 정기 예찰조사(10% 수준)가 도입되어 286개 소모성 질환 지원 농장에 대한 모니터링이 실시됐다. 또한, 모니터링 결과 양성 확인 시 이동 제한 등 조치를 완화하는 법령 개정을 추진하여 양성 농가의 부담을 덜어주고, PED G2b 백신 공급을 위한 예산이 증액(기존 1,397백만원에서 1,715백만원으로)되어 적정 백신 공급이 가능해졌다. 대한한돈협회는 백신 가이드라인 마련, 분만사·자돈사 소독 관리 체계 강화, 지역 수의사 활용 방안 등 현장 중심의 연구 용역을 진행하며 실질적인 방역 개선에 기여했다.

 

구제역 방역 부문에서는 피내접종 백신 개발 및 상업화가 추진되어 2027년부터 상업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됐다. 국내 백신주 개발을 통해 국내 양돈 환경에 적합한 백신 보급 기반이 마련됐으며, 검역본부 연구 결과 피내접종 백신은 기존 상시 백신과 동등한 수준의 항체 형성능이 확인되고 이상육 발생도 최소화되는 등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특히 대한한돈협회는 종돈장에서 피내접종 백신의 선제적 사용을 건의하며 항체 양성률 향상과 이상육 발생률 감소 효과를 강조했다.

 

돼지열병과 관련해서는 2017년부터 국내 비발생이 유지되고 있으며, 9년째 국내 발생이 없고 사육 돼지에서의 바이러스 순환도 확인되지 않아 청정화 여건이 성숙한 것으로 판단됐다. 100% 백신 접종을 통해 95% 이상의 높은 백신 항체 형성률을 유지함에 따라 재발 가능성이 낮은 상황이다. 그간 민·관·학 돼지 방역대책위원회(2023년~)를 중심으로 돼지열병 청정화 과정에 대한 공감대 형성 및 협조를 이끌어 왔다.

 

 

돼지 소모성 질병 방역관리 개선 대책(안): '미국식 자율 방역' 플랫폼 구축으로 혁신 예고

 

회의에서는 '돼지소모성질병 방역관리 개선 대책(안)'의 주요 방향이 제시되며, 국내 양돈 방역의 근본적인 변화를 예고했다. 현재 돼지 소모성 질병은 모니터링 및 정보 공유 미흡, 농장 보고 기피, 백신 접종 문제(부적합 백신 및 미접종), 차량 및 도축장 교차 오염 가능성 등 다양한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특히 PED 유행형이 G1a에서 G2b로 변화하고, PRRSV 또한 다양한 유형이 동시 유행하는 등 복합적인 상황에 직면했다.

 

이에 위원회는 미국의 MSHMP(Morrison Swine Health Monitoring Program) 운영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국내 양돈 산업에 맞는 자율적인 질병 감시 및 정보 공유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MSHMP는 생산자, 수의사, 연구자, 정부 기관이 협력하여 질병 발생 정보를 공유하고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방역 대책을 수립하는 민간 주도의 성공적인 모델로 평가받았다.

 

새로운 방역 대책은 △진단 강화(질병 검사 및 시기 적절한 검사 강화, 질병 발생 정보 공유 플랫폼 구축) △방역 사각지대 해소(취약 농가 방문/축산 차량 및 시설 방역 체계 마련) △방역 인프라 개선(ICT 기반 정보 모니터링, 백신 자동 접종 시스템 구축, 농장/지역 단위 방역 프로그램 보급) △백신 관리(적정 백신 접종을 위한 유전형별 백신 접종 이력 관리, 종돈장 질병 관리 강화)를 핵심 내용으로 했다.

 

구제역 및 돼지열병 방역 관리 개선, 그리고 청정국 지위 추진

 

구제역과 관련해서는 국내 상시 백신 접종 상황에서 효율적인 방역 관리가 강조됐다. 살처분 최소화를 위한 발생 농가 양성 개체만 살처분하고, 비발생 농장의 경우 예방적 살처분을 허용하지 않으며, 살처분 농가의 보상 기준 완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백신 중심 방역 관리, 올바른 백신 접종 및 철저한 관리가 강조되며 피내접종 구제역 백신의 조기 현장 적용 및 상업화가 추진될 것으로 전망됐다.

 

돼지열병은 '돼지열병 청정화 로드맵 개발' 연구용역을 추진하여 2029년까지 청정화를 달성하고 2030년까지 세계동물보건기구(WOAH)로부터 돼지열병 청정국 인증을 획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청정기반 구축 △청정화 확인 △청정화 달성·유지 단계별 방안(마스터플랜) 마련하고, △마커 백신의 경제적 유용성 평가 및 접종 방안 마련 △돼지열병 모니터링 개선 방안 등을 검토한다.

 

특히 2025년부터 2027년까지는 민·관·학 방역대책위원회 운영, 신형 마커 백신 전면 도입, 전국 단위 모니터링 검사 지속 추진 등을 통해 청정 기반을 구축할 예정이다. 2028년부터 2029년 상반기까지는 돼지열병 백신 접종 중단을 검토하고 지역별 특별 방역 관리를 추진하여 청정화를 확인하며, 2029년 하반기부터 2030년까지 WOAH 청정 지위를 신청하고 획득할 계획이다. 2031년부터는 전국적인 모니터링 검사 지속 실시 및 예방약품 비축·백신 유통 금지(예방접종 금지 시)를 통해 청정 지위를 유지할 것이다.

 

 

향후 계획, 지속적인 협력으로 청정 양돈 산업 실현

 

위원회는 이번 회의를 통해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양돈농장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돼지 소모성 질병 방역 관리 개선 대책을 올 하반기까지 마무리할 예정이다. 또한, 전체 회의 후 3개 실무 대책반(PED·PRRS, 구제역, 돼지열병) 회의를 지속적으로 개최하여 각 질병에 대한 구체적인 방역 대책을 수립하고 실행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향후 민·관·학 합동 방역대책위원회 차원의 추가 논의를 거쳐 농가가 자율적으로 선택 가능한 구제역 예방접종 세부 방법을 확정하고, 구제역 방역 관리 개선 방안을 수립할 계획이다.

 

농림축산식품부와 대한한돈협회는 민·관·학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돼지 소모성 질병, 구제역, 돼지열병으로 인한 양돈 농가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나아가 국내 양돈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청정 방역 시스템을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곽호범 98ghqja@naver.com
Copyright @2012 라이브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A1축산(주) 전화 : 02-3471-7887, 010-6280-7644 / E-mail : a1@livesnews.com 주소 : 서울 강남구 도곡로 1길 14 삼일프라자 829호 Copyright ⓒ 라이브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