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퇘지 번식 성적 높이려면, ‘후보돈’ 관리부터

  • 등록 2025.07.14 10:38:50
크게보기

격리·순치·백신 접종 등 도입 초기 단계부터 체계적 관리
체형·체중·발정 관리로 수태율과 산자수 높일 수 있어

여름철 쾌적한 후보 돈사 환경 조성, 질병 예방·경제성 향상 도움

 


농촌진흥청은 암퇘지(모돈) 번식 성적을 높이려면, ‘후보돈’ 단계에서부터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후보돈은 아직 교배하지 않는 암퇘지로, 향후 모돈으로 전환될 예비 번식돈을 말한다. 이 시기 관리 수준에 따라 임신 성공률, 산자수(한 번에 낳는 새끼 수), 포유능력 등 생산성이 크게 좌우된다.

 

후보돈이 새로 들어오면 1주 동안 격리시키며 임상 증상을 관찰하고 질병 감염 여부를 먼저 점검(모니터링)한다. 이후 환경에 잘 적응하는지 관리해 농장 내 순환하는 상재 질병에 대한 면역력을 갖게 한다. 이 과정에서 백신 접종과 자돈 분변 노출 등으로 방어력을 강화한다.

 

또한, 교배 전까지 건강하고 균형 잡힌 체형을 유지해야 번식 장애를 줄일 수 있다. 체형은 맨눈으로 후보돈의 뒷모습을 보고 판별한 체형점수(Body Condition Score, BCS)에 따라 1점(마름)~5점(비만)으로 구분한다. 교배 적정 기준은 체형점수 3점, 체중 150~160kg, 등지방 두께 11~16mm 수준이다.

 

농가에서는 후보돈 체형과 체중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측정값에 따라 사료량을 조절한다. 다만, 체형점수는 측정자마다 판단 기준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등지방 두께나 등각기(등의 각도를 재는 장치) 등 객관적 수치를 함께 적용하는 것이 좋다.

 

하루 체중 증가량은 600∼800g 정도가 적정하다. 이보다 낮으면 성장 지연으로 발정이 늦고, 너무 높으면 급성장으로 인해 다리 상처, 발굽 이상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농가에서는 후보돈 첫 발정을 반드시 확인하고, 두 번째 발정 이후 교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번째 발정 전에 교배하면 생식기가 충분히 성숙하지 않아 임신이 되더라도 이후 번식성이 떨어질 수 있다.

 

발정을 효과적으로 유도하려면, 생후 200일령 이후부터 수퇘지와 하루 15분 이상 접촉하게 한다. 이때 수퇘지를 같은 공간에 사육하지 말고, 별도 공간에서 관리해야 발정 유도 효과가 지속된다.

 

사육 공간은 마리당 1.5m2 이상 확보하고, 방 하나당 8∼12두씩 배치하는 것이 적절하다. 사육 온도는 18∼20도(℃), 습도는 50∼60% 수준을 유지한다. 바닥에는 콘크리트, 건초나 톱밥 등을 깔아 다리 손상과 스트레스를 줄여준다. 특히 바닥 위생을 철저히 해 생식기 오염으로 자궁염이 발생하지 않게 관리한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양돈과 조규호 과장은“후보돈은 단순한 예비 개체가 아니라, 농장의 생산성을 결정짓는 핵심 자원이다.”라며“건강한 모돈군을 유지해야 생산성 향상을 이룰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곽동신 a1@livesnews.com
Copyright @2012 라이브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A1축산(주) 전화 : 02-3471-7887, 010-6280-7644 / E-mail : a1@livesnews.com 주소 : 서울 강남구 도곡로 1길 14 삼일프라자 829호 Copyright ⓒ 라이브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