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4 (금)

  • 맑음동두천 11.9℃
  • 맑음강릉 13.2℃
  • 맑음서울 12.6℃
  • 맑음대전 12.8℃
  • 맑음대구 15.1℃
  • 맑음울산 15.2℃
  • 맑음광주 13.5℃
  • 맑음부산 16.7℃
  • 맑음고창 12.7℃
  • 구름조금제주 15.4℃
  • 맑음강화 10.1℃
  • 맑음보은 12.3℃
  • 맑음금산 12.6℃
  • 맑음강진군 13.9℃
  • 맑음경주시 15.1℃
  • 맑음거제 10.9℃
기상청 제공

위염 등 소화 불량이 만성화됐다면 담적부터 확인해 봐야

 

인체의 뿌리라고 하면 어디를 손꼽을 수 있을까. 무엇보다 소화기관이 아닌가 싶다. 소화에 문제가 발생하면 모든 기관과 조직에는 영양 전달 자체가 어려워진다. 이는 전체적인 이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위염 등 소화 불량이 만성화되면 무엇보다 소화 기관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의심해 봐야 한다. 이 중에서도 담적은 의심 대상 1호다.

 

소화 기관 이상으로 인해 제대로 소화하지 못할 경우 생기는 음식 찌꺼기를 담적이라고 한다. 한 번 담적이 발생하게 되면 식후 팽만감, 구역질, 트림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먹는 양에 비해 체중이 지속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그렇다면 이때는 담적이 아닌지 확인해 보는 게 좋다.

 

담적을 비롯해 소화 자체가 잘 안된다면 어떤 약을 먹어야 할지 고민한다. 하지만 약은 증상을 완화할 뿐 소화기관이 제 기능을 하도록 도와주지 않는다. 그래서 소화 기관이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하는데 이를 자생력이라고 규정한다.

 

자생력은 소화 기관이 원래 해야 하는 연동 연하 운동 능력을 향상하는 힘이다. 증상 완화가 아니라 소화 운동 능력을 바로 잡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렇게 되면 원인 자체가 사라지다 보니 담적이나 소화불량 같은 문제도 자연스럽게 사라질 수 있다.

 

위맑음한의원 김영근 원장은 “자생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소화기관을 전반적으로 움직이도록 만들어야 한다. 대부분 소화기관을 위나 식도만을 생각한다. 하지만 한의학에서는 소화기관을 목부터 항문 즉, 먹는 것부터 배출 전 과정에 관여하는 장기라고 인식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래서 유기적인 체계를 만들기 위해 심장과 간에 집중한다. 혈액 순환이 원활해야 소화기관에 영양분 전달이 잘 된다. 또한 이 에너지가 간에 보관된다. 심장과 간이 활성화돼야 자연스럽게 소화기관도 강해질 수 있다. 게다가 신장, 장 등 소화 기능도 유기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체계를 잡아야 한다. 각 기관이 자체적으로 기능하게 되면 조화로운 연동 연하 운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했다.

 

김영근 원장은 “다만 이러한 조화로운 움직임을 갖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다. 담적이나 소화 불량과 같은 질환이 만성화됐다면 그간 쌓인 문제가 만만치 않다는 의미다. 따라서 이를 바로 잡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바로 잡는 데 오랜 기간이 걸릴 수 있는 만큼 나아질 수 있다는 믿음을 가져야 한다.”고 전했다.

배너

포토이슈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