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류성 식도염, 생활습관 개선과 적절한 치료로 관리 가능
현대인의 스트레스와 불규칙한 식습관으로 인해 역류성 식도염 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역류성 식도염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매년 꾸준히 늘고 있으며, 성인 10명 중 2~3명이 역류성 식도염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류성 식도염은 위장 속 내용물이나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여 발생하는 질환이다. 식도와 위장 사이에는 하부식도괄약근이라는 조임근이 있어 평소에는 위 내용물이 식도로 넘어오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 근육의 기능이 약해지거나 위압이 증가하면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게 되고, 이로 인해 식도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것이 역류성 식도염이다. 주요 증상으로는 가슴 쓰림, 신물이 올라오는 느낌, 목의 이물감, 만성 기침, 쉰 목소리 등이 있다. 특히 식사 후나 누워있을 때 증상이 심해지는 특징이 있다. 일부 환자들은 가슴 통증을 호소하기도 하는데, 이런 경우 심장 질환과 혼동될 수 있어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은 다양하다. 비만, 임신, 복부 압력 증가, 과식, 기름진 음식이나 매운 음식 섭취, 흡연, 음주, 카페인 섭취 등이 주요 위험 요인으로 꼽힌다. 또한 스트레스와 불규칙한 생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