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1 (화)

  • 구름많음동두천 0.9℃
  • 구름조금강릉 9.1℃
  • 구름조금서울 4.3℃
  • 구름많음대전 3.6℃
  • 구름많음대구 8.2℃
  • 구름많음울산 7.2℃
  • 구름많음광주 5.6℃
  • 구름많음부산 9.1℃
  • 구름많음고창 3.9℃
  • 구름많음제주 11.3℃
  • 맑음강화 1.3℃
  • 흐림보은 1.8℃
  • 구름조금금산 0.7℃
  • 구름많음강진군 6.5℃
  • 흐림경주시 8.4℃
  • 구름많음거제 7.0℃
기상청 제공

키움증권, 이러다 李 대통령에 찍힐라 … 美증시 급락 속 또 전산 장애, 엄주성 대표 리더십 도마 위에

7개월 만의 또 ‘먹통 사태’… 리스크관리 혁신 외친 엄주성 대표, 반복된 시스템 마비에 신뢰 흔들
반복된 전산장애에 정부 ‘엄정 문책’ 방침 첫 시험대... IT 비전문가 리스크관리위 논란

 

국내 개인투자자 비중 1위 증권사인 키움증권이 또다시 전산장애를 일으켰다. 지난 4월 이틀 연속 시스템 오류가 발생한 지 불과 7개월 만이다. 새벽 미국 증시가 급락하던 시간대에 접속 불능 사태가 발생하면서 투자자들은 손실 대응조차 하지 못했고, ‘영웅문S#’ 앱은 사실상 밤새 멈춰섰다. 이번 사태로 엄주성 대표 체제의 리스크 관리 부실에 대한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불과 한 달 전 정부가 금융 인프라 사고에 대해 “엄정 문책” 방침을 경고한 상황에서 발생한 이번 장애는 단순한 기술 문제가 아니라 경영 책임 논란으로 번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금융 인프라 사고가 발생하면 원인을 끝까지 규명하고 기관 책임을 엄정히 묻겠다”고 밝힌 직후 벌어진 일이어서, 감독당국의 관심이 키움증권으로 쏠리고 있다.

 

■ 올해 들어 세 번째 대규모 전산장애

 

6일 밤(현지시간) 뉴욕증시가 인공지능(AI) 관련주를 중심으로 급락하던 시각, 국내 투자자들은 ‘영웅문S#’에 접속조차 하지 못했다. 화면에는 “Script error reported(스크립트 오류 보고)”라는 문구만 반복적으로 떴고, 앱은 재부팅을 거듭했다. 나스닥지수가 1.9% 급락하고 엔비디아·AMD 등 서학개미 투자 비중이 높은 종목들이 동반 하락했지만, 상당수 이용자는 매도·매수 대응을 하지 못했다. 불만은 밤새 온라인 커뮤니티로 확산됐고, 투자자 게시판에는 “시장 급락장에 계좌를 바라볼 수밖에 없었다”는 항의가 이어졌다.

 

키움증권은 “일부 불안정 현상”이라고 해명하며 “안드로이드는 업데이트, 아이폰은 재설치하라”는 공지를 냈지만, 접속 불가 현상은 다음날 오전까지 이어졌다.

 

이번 사태는 올해 들어 세 번째 대규모 전산장애다. 지난 4월 3~4일에는 개장 직후 홈트레이딩시스템(HTS)과 MTS가 동시에 마비돼 주문 체결이 지연됐다. 금융감독원은 당시를 ‘중대 금융사고’로 분류하고 경위 파악에 착수했다. 키움증권은 “자동주문전송(SOR) 시스템을 이중화해 안정성을 확보했다”고 해명했지만, 이후 조사 결과 원인은 SOR 내부 데이터 연동 문제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더욱이 지난 9월, 회사는 ‘IT 안정성 강화’를 위해 매년 약 1,000억 원의 전산비용 외에 300억 원을 추가 투자하겠다고 발표한 직후였다. 그 약속이 불과 두 달 만에 무너진 셈이다.

 

■ ‘비전문가 리스크관리위원회’의 민낯… 기술 리더십 부재

 

업계는 그 원인을 키움증권의 ‘비전문가 리스크관리위원회’에서 찾고 있다. 현재 키움증권 리스크관리위원회는 엄주성 대표이사, 유광열 사외이사, 김용진 사외이사로 구성돼 있다. 그러나 세 인물 모두 전산·보안 전문가가 아니다. 유광열 위원장은 전 금감원 부원장으로 정책·재무 전문가, 김용진 이사는 서강대 회계학 교수로 재무회계 전공자, 엄주성 대표 역시 통계·투자기획 출신이다. IT 리스크를 다뤄본 사람이 단 한 명도 없는 셈이다.

 

이와 달리 NH투자증권은 포항공대 전산공학 출신 전문가를, 미래에셋증권은 스탠퍼드대 전기공학 박사를 리스크관리위원회에 포함시켜 시스템 리스크를 직접 점검하고 있다. 타 증권사들이 기술 리더십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안, 키움증권만은 여전히 관료·재무 중심의 위원회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엄주성 대표는 2024년 1월 취임 당시 ‘리스크관리 혁신’을 경영 핵심 가치로 내세웠지만, 잇따른 전산사고로 그 약속은 공허해졌다. 고객 게시판에는 “리스크 관리가 대표의 강점이라더니 결과가 이게 뭐냐”, “책임지고 사퇴하라”는 글이 이어지고 있다.

 

정부가 ‘금융 인프라 사고 엄정 문책’을 예고한 상황에서, 키움증권의 전산장애는 금융당국의 첫 시험대가 될 가능성이 크다. 금융당국이 이번 사태를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키움증권의 책임뿐 아니라, 향후 금융권 전반의 IT 리스크 관리 기준도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