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중앙연구소가 롯데푸드, 롯데제과와 함께 국제 학술대회 단독세션을 진행하며 김치유산균 연구 성과를 집대성 했다.
롯데중앙연구소(소장 여명재)는 지난 4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9회 아시아 유산균 학회에서 그간의 김치유산균 연구결과를 발표하는 단독 세션을 개최했다고 5일 밝혔다.
아시아 유산균 학회 이틀째인 4일 진행된 롯데 단독 세션에서는 롯데중앙연구소 양시영 박사를 비롯해 다섯 명의 연구자가 발표를 진행했다.
양시영 박사는 ‘새로운 식물성 유산균의 분리 및 롯데 제품에의 적용’이란 주제로 롯데 유산균 제품에 대해 발표했다.
양 박사는 “수 백 종의 김치로부터 분리한 5000종의 유산균 중 특허받은 2종의 유산균으로 롯데만의 유산균 브랜드 LB-9을 개발했다”며 “현재 비스킷, 샌드, 우유, 발효유 등에 적용했고 곧 아이스크림도 선보일 예정이다”고 말했다.
이어 △유산균 초콜릿의 동물에서의 변비 개선 효과와 예방효과(김세헌 교수, 고려대학교) △ 유산균 초콜릿의 변비 환자에 대한 효과(차재명 교수, 경희대학교) △롯데의 LB-9 유산균 함유 우유와 발효유의 장 건강 기능성(김영준 교수, 고려대학교) △롯데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LRCC5310의 로타바이러스 억제 효과(김원용 교수, 중앙대학교)를 주제로 발표했다. 특히, 김치유산균의 로타바이러스 억제 효과는 지난 6월 헝가리에서 열린 인터내셔널 프로바이오틱스 컨퍼런스 2017에서 발표된 사례로 참가자들의 많은 관심을 끌었다.
이날 세션에는 여명재 소장을 비롯한 롯데중앙연구소 및 롯데푸드, 롯데제과 관계자들이 함께 했다.
각국의 전문 유산균 연구 그룹들은 롯데가 주로 발효유와 건강기능식품에만 적용되던 유산균을 제과 제품과 우유 등에 적용한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앞으로 더 많은 유산균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는 것에 큰 기대를 걸었다.
아시아 유산균 학회는 유산균의 원리, 이용 및 산업 적용에 대한 국제학술대회로 2년에 한번 개최된다. 지난 2013년 인도 뉴델리에서 7회, 2015년 태국 방콕 8회가 진행돼 올해로 9회를 맞이했다.
매회 아시아를 비롯한 세계 50여개국에서 500여명의 유산균 전문 연구그룹들이 참여해 우수한 연구 성과를 발표해 왔다.
올해는 ‘유산균 시대: 과학, 산업 그리고 대중으로의 급격한 발전’이란 주제로 7월 3일부터 5일까지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됐다.
롯데중앙연구소는 이날 세션에서 발표된 연구 결과 외에도 지속적인 유산균 연구를 진행 중에 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더욱 우수한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