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학기술이 발전하면서 안경이나 렌즈 없이 편안한 일상생활을 원하는 경우 시력교정술에 관심을 가진다. 다만 모든 이에게 시력교정술이 적합한 것은 아니며 개인의 근시 정도와 각막 두께 등에 따라 적합한 수술 방법이 달라진다. 일부 환자는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신체의 가장 민감한 부위 중 하나인 눈은 수술 후 시력저하나 빛 번짐과 같은 부작용에 대한 우려 때문에 수술에 대한 불안감이 커질 수밖에 없다.특히 각막을 절삭하는 방식의 시력교정술은 고도근시 환자나 각막이 얇아 잔여 각막이 부족한 경우 라식, 라섹, 뉴스마일라식 수술이 불가하다.
초고도근시 환자에게는 각막을 미세하게 절개하여 각막과 수정체를 그대로 유지하고 수정체와 홍채 사이에 특수 제작된 렌즈를 삽입하는 ICL 렌즈삽입술이 대안이 될 수 있다.
하늘안과 김동수 원장은 “렌즈삽입 수술은 라식, 라섹, 뉴스마일라식과 달리 레이저를 사용하지 않고 홍채와 수정체 사이에 일정한 도수의 렌즈를 넣어 시력을 회복하는 수술이다. 세부적으로 렌즈삽입술은 전방렌즈삽입술과 후방렌즈삽입술로 구분한다. 전방렌즈는 홍채를 기준으로 앞쪽에 렌즈를 고정하는 방식이며, 후방렌즈는 뒤쪽에 렌즈를 고정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렌즈삽입술의 가장 큰 장점은 각막을 깎지 않는 수술 방식이기 때문에 각막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다. 수술 후 시력회복 시간이 짧고 통증이 적어서 일상생활로의 복귀도 빠르다”고 전했다.
김동수 원장은 “렌즈삽입수술에 사용되는 렌즈는 인체 친화적인 콜라머 재질이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특별한 문제가 없는 한 평생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환자가 원하거나 필요할 경우 언제든지 렌즈를 제거할 수 있어 수술 후 원상태로 되돌릴 수도 있다. 후방 렌즈삽입술의 경우 홍채를 절개하지 않기 때문에 환자의 통증이나 후유증이 상대적으로 적고 각막내피세포수 저하 등의 부작용 우려도 적은 편이다”고 전했다.
다만, 렌즈삽입술 수술 전에는 안구 공간을 정밀하게 측정해 개인의 안구에 적합한 렌즈 크기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렌즈가 삽입되는 각도를 0.1도 단위로 세밀하게 계산해야 안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사전 정밀검진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진과 충분한 상담을 통해 환자 개인에게 맞는 렌즈의 종류와 도수, 크기 등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렌즈의 종류나 도수가 맞지 않으면 수술 후 시력의 질이 떨어질 수 있으며 렌즈의 크기가 크거나 작으면 녹내장, 각막내피세포감소, 백내장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검사를 통한 분석이 필요하다.
김동수 원장은 “렌즈삽입술은 눈 상태에 알맞은 방법, 렌즈 사이즈 선택 등이 수술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의료진의 경험이 풍부한지, 신식의 검사 및 수술장비를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 등을 체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렌즈삽입술 후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눈 상태를 점검하며 사후관리를 철저히 해야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