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교과서 속 한국 관련 오류 시정 업무를 우리 재외공관이 안일하게 대처하며 사실상 방치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오류 시정 협조요청을 받았으면서도 이를 상당수 외면하는가 하면, 일부 공관은 감사원 지적에도 묵묵부답으로 방치하다가 국감을 앞두고 늑장대응 한 것으로 밝혀졌다.
정부는 공공외교 기본계획에 따라 교육부 산하 한국학중앙연구원(한중연)이 해외 교과서 내 한국 관련 오류를 발굴하고, 외교부가 재외공관을 통해 시정 활동을 담당한다.
그런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이용선의원(더불어민주당·양천구을)이 외교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4년까지 한중연 요청에 대한 재외공관의 회신율은 50-60%에 그쳤다.
감사원도 25년 3월 발표한 감사보고서에서 21년부터 23년 사이 한중연의 협조요청에 대해 미회신한 21개 공관 명단을 공개하는 등 동일한 문제를 지적한 바 있다.
지난 9월 이용선 의원실에서 후속 조치를 확인한 결과, 아르메니아(주러시아대사관 겸임국), 콩고, 프랑스, 피지 등 4개 공관은 감사원 지적 이후에도 무대응으로 일관하다가 뒤늦게 한중연에 회신 의사를 밝힌 것으로 드러났다.
이처럼 공관의 무관심 속에 해외 교과서 속 심각한 오류들이 그대로 방치되고 있다. 한국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은 몽골 교과서에서도 한국사를 심각하게 왜곡하거나 사실과 다른 내용이 다수 발견되었다.
한중연에 따르면 주몽골대사관은 몽골 교육 당국과 접촉하며 시정을 요구하는 등 지속적으로 협의 중이나 몽골 측의 교과서 개정 계획이 불투명하고 양국 간 역사 인식 차이 등 민감한 사안이 얽혀 있어, 실제 시정까지는 상당한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전했다.
이용선 의원은 “몽골 사례처럼 해외 교과서 내 한국과 관련된 명백한 오류가 발견되었음에도 재외공관이 이를 외면하고 방치하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외교부와 재외공관에서 적극적인 의지와 책임감을 가지고 시정 작업을 이어나가야 한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