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2년 2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35.4포인트) 대비 3.9% 상승한 140.7포인트를 기록했다. 설탕을 제외한 모든 품목의 가격지수가 상승했으며, 그중 유지류와 유제품 지수의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2022년 2월 곡물 가격지수는 2022년 1월(140.6포인트)보다 3.0% 상승한 144.8포인트를 기록(전년 동월 대비 14.8% 상승)했다. 밀은 흑해 지역 주요 수출국인 러시아·우크라이나의 수출에 어려움이 예상되면서 가격이 상승했다. 옥수수는 아르헨티나·브라질 작황 우려, 밀 가격 상승, 우크라이나산 수출 불확실성 등의 영향으로 가격이 상승했다. 쌀은 일부 수출국 통화가치 상승과 동아시아국가의 수요 증가로 가격이 상승했다. 유지류의 경우, 전월(185.9포인트)보다 8.5% 상승한 201.7포인트를 기록(전년 동월 대비 36.7% 상승)했다. 팜유는 세계 최대 팜유 수출국인 인도네시아의 수출량 감소 전망으로 가격이 상승했다. 대두유는 남미지역 생산 저조 전망에 따라 가격이 상승했다. 해바라기씨유는 흑해 지역의 수출 저조 우려로 가격이 상승했다. 유제품의 경우, 전월(132.6포인트)에서 6.4%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2년 1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34.1P) 대비 1.1% 상승한 135.7P를 기록하였다. 설탕을 제외한 모든 품목의 가격지수가 상승했으며, 그중 유지류와 유제품 지수의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2022년 1월 곡물 가격지수는 2021년 12월(140.5P)보다 0.1% 상승한 140.6P를 기록(전년 동월 대비 12.5% 상승)하였다. 옥수수는 아르헨티나, 브라질 등 남반구에서 계속된 가뭄으로 가격이 상승하였다. 쌀은 주요 공급국의 저조한 수확량과 아시아 국가들의 꾸준한 구매로 인해 가격이 상승하였다. 다만 밀은 계절상 호주와 아르헨티나 공급량이 증가하면서 가격이 하락하였다. 유지류의 경우, 전월(178.5P)보다 4.2% 상승한 185.9P를 기록(전년 동월 대비 33.8% 상승)하였다. 팜유는 세계 최대 팜유 수출국인 인도네시아의 수출량 축소 전망에 대한 우려와 주요 생산국의 생산량 감소로 가격이 상승하였다. 대두유는 인도 등에서 수입 수요가 많아 가격이 상승하였다. 유채씨유 및 해바라기씨유는 각각 공급 부족 및 수입 수요 증가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였다. 육류의 경우, 전월(112.3P)보다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