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9 (화)

  • 맑음동두천 11.6℃
  • 맑음강릉 17.6℃
  • 맑음서울 13.7℃
  • 맑음대전 14.3℃
  • 맑음대구 16.2℃
  • 맑음울산 11.6℃
  • 맑음광주 15.2℃
  • 맑음부산 13.3℃
  • 맑음고창 9.9℃
  • 맑음제주 13.9℃
  • 맑음강화 9.1℃
  • 맑음보은 11.8℃
  • 맑음금산 11.6℃
  • 맑음강진군 12.0℃
  • 맑음경주시 13.5℃
  • 맑음거제 13.6℃
기상청 제공

축산

위치추적장치 부착 철새 이동경로 추적

환경부, AI 상시예찰 및 멸종위기종 보전·연구 등에 활용

환경부(장관 윤성규)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는 AI 상시예찰 및 멸종위기에 처한 철새의 보전·연구 등을 위해 야생조류에 부착해 온 위치추적장치를 확대하여 AI 예방관리 강화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1993년부터 철새 등에 이동연구용 금속가락지 등을 부착해 왔으며, 멸종위기종 보호 및 AI 등 조류질병 연구를 위해 위치추적기 부착 등 첨단기술을 활용하기 시작한 것은 2010년부터다.

 

그간 동 위치추적장치를 통해 중요 종의 이동경로와 월동지, 번식지 등을 파악하여 조류생태 연구(국립생물자원관)와 AI 상시예찰?연구(농림축산검역본부, 국립환경과학원) 등에 활용해 오고 있으며, 양 부처간 협력을 통해 철새와 가금에서 발생하는 AI 등 조류질병과의 연관성 연구도 실시해 오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위치추적장치는 인공위성을 이용한 인공위성추적기(PTT 방식)와 이동통신망 추적장치(CDMA 방식) 등 두 가지 종류가 사용되고 있는데, 조류의 크기, 무게, 생태적 특성 등을 감안하여 기기를 선별하여 사용하고 있다.

 

정부가 2010년부터 현재까지 '위치추적장치'를 부착한 철새는 총 18종 169개체로서 맹금류인 흰꼬리수리와 참매를 포함하여 기러기류, 오리류, 백로류 등이다.

배너
배너

포토이슈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