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 년간 농기계 사고로 400 여명이 사망하고, 부상자를 포함한 사상율도 80% 에 이른 것으로 나타나, 수확기 안전사고에 주의가 필요하다.
더불어민주당 문금주 의원 ( 고흥군 · 보성군 · 장흥군 · 강진군 ) 이 농촌진흥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8 년부터 2022 년까지 농기계 사고는 5,907 건이 발생했으며, 사망자 398 명을 포함해 다친 사람이 무려 4,593 명으로 사상율이 78% 에 달한다.
실제, 지난 추석 연휴 농사일을 돕던 A 씨는 한 과수원 인근에서 이동형 농약살포기가 밭으로 추락한 탓에 농기계에 깔려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 결국 숨졌다. 80 대 남성 B 씨는 경운기 앞바퀴에 깔려 심정지 상태로 인근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숨졌다.
농기계 사고는 2018 년 1,057 건 2019 년 1,121 건 , 2020 년 1,269 건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다 2021 년 1,076 건으로 소폭 감소하다 2022 년 1,384 건으로 전년 대비 29% 증가해 5 년 사이 가장 많이 발생했다.
이처럼 농촌현장에서 트랙터나 경운기 등 농기계로 인한 사고가 매년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농기계 사고는 그 특성상 사고가 발생하면 중상을 입거나 숨질 가능성이 더욱 크기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북 1,487건 , 경남 1,003건 , 전남 932건 , 전북 697건 , 충남 501건 , 경기 492건 등 순으로 집계됐다.
사고 유형별로는 끼임 사고가 35.5% 로 가장 큰 비중을 자치했으며 , 전복 · 전도 28%, 교통사고 20% 기타 · 미상이 10% 낙상 · 추락 7% 순이다.
문 의원은 “본격적으로 가을 수확 철이 시작되면서 농기계의 사용이 증가하게 됨에 따라 농기계 사고가 잇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며 “농기계에 의한 안전사고는 농민들에게 가장 위험성이 큰 재난이다. 사고 예방을 위해 농기계 사용자에 대한 지도 교육 강화와 사고 유형에 맞는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