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5 (화)

  • 구름많음동두천 13.5℃
  • 맑음강릉 15.9℃
  • 맑음서울 12.8℃
  • 맑음대전 14.0℃
  • 맑음대구 16.2℃
  • 맑음울산 15.6℃
  • 맑음광주 13.5℃
  • 맑음부산 14.0℃
  • 맑음고창 11.8℃
  • 맑음제주 15.9℃
  • 맑음강화 9.4℃
  • 맑음보은 13.3℃
  • 맑음금산 12.8℃
  • 맑음강진군 14.6℃
  • 맑음경주시 16.2℃
  • 맑음거제 13.3℃
기상청 제공

무릎 퇴행성관절염 치료, 관절 연골 상태 따라 각각 적용해야

 

노인성 무릎 질환 중 대표적으로 손꼽히는 질환에 퇴행성관절염이 있다. 무릎퇴행성관절염은 무릎뼈 끝에 위치한 관절연골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뼈를 보호하고 있는 관절연골이 손상되면 무릎에 통증 및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심할 경우 다리가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등 다리 모양에 변형이 생기기도 한다.

 

특히 퇴행성 변화가 진행되는 중장년층 이후부터는 관절에 영양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무릎퇴행성관절염이 발생하면 질환이 빠르게 악화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은 “관절연골의 손상이 경미한 편에 속하는 무릎퇴행성관절염 초기의 환자는 약물 복용 및 주사 요법, 물리치료 등의 비수술적 치료를 적극적으로 진행하여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자가골수 줄기세포 주사 치료(BMAC)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 주사치료는 환자의 장골능에서 채취한 자가 골수를 원심 분리하고 농축된 골수 줄기세포를 무릎 관절강내 주사하는 것으로, 주사 치료만으로 관절연골 조직의 재생을 도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관절연골의 손상이 심한 편이라면 미세천공술 및 줄기세포 카티스템과 같은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관절연골의 대부분이 손상되고 뼈에도 손실이 생긴 무릎퇴행성관절염 말기의 환자는 미세천공술이나 줄기세포 카티스템 수술 적용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뼈끝에 남아있는 관절연골을 모두 제거한 뒤에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무릎인공관절수술이 고려된다”고 전했다.

 

무릎 인공관절수술은 환자의 무릎 관절 상태에 맞추어 손상된 관절의 일부분만 대체하거나 전체를 대체할 수 있다. 무릎인공관절수술 후에는 무릎 관절의 강직을 방지하고, 손실된 하체 근력을 회복하기 위한 재활 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쳐야 한다.

 

무릎 관절연골이 손상되면 무릎에 통증 및 부종 외에도 압통, 잠김 현상, 관절 불안정성, 무릎관절 가동 범위 제한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갑자기 무릎이 찌릿하거나 무릎에 힘이 풀리는 증세가 동반되기도 하니 이러한 증상이 나타났다면 병원에 가서 정확하게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권장된다.

배너
배너

포토이슈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