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지역 조생 양파의 수확기가 다가오는 가운데, 양파의 안정적인 수급관리 및 TRQ 수입에 따른 농가 피해 대책 마련을 위한 농정간담회가 개최됐다.
더불어민주당 문대림 국회의원(제주시 갑)은 20일 농협 제주본부에서 농림축산식품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등 관계기관과 양파생산자협회가 함께하는 제주 조생양파 수급안정 추진 농정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문 의원의 주관으로 열린 이날 간담회는 현장의 양파농가에서 정부의 양파 TRQ 수입에 따른 농가 우려와 최근 이상기후 심화에 따른 경영애로를 농식품부 측에 전달하고, 향후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부 측에서는 신우식 농림축산식품부 원예산업과장,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이선우 수급기획부장 등이 참석했으며, 양파농가 측에서는 남종우 전국양파생산자협회 회장, 오창용 전국양파생산자협회 제주 지부장과 제주 양파 생산 농가들이 참석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양파농가들은 농식품부에 제주의 생산비를 반영해 양파 수급 가이드라인을 현실화, 양파 TRQ 도입 물량 최소화 및 국내 출하기를 고려한 시기 조정, 물류비 및 조기출하 지원금 지원 등 양파 수급안정 대책을 요구했다.

특히 농가들은 정부의 양파 수급관리 가이드라인이 농업 현실을 전혀 담아내지 못한 임의적 기준이라며 강력비판했다.
이에 농식품부 신우식 원예산업과장은 “양파 TRQ 도입을 최소화할 것이며, 국내산 가격에 과도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수급관리대책과 관련해서는 “지역의 특성과 생산비를 충분히 고려해 지역자조금 등 지역단위 지원사업과 매칭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날 농식품부 등 관계기관들은 향후 제주 조생 양파의 원활한 수급과 농가 소득 보장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문대림 의원은 “식량안보를 위해서라도 국내산 양파의 생산기반을 강화하고, 농가의 적정소득을 보장해주어야 한다”며 “두더지잡기식 물가관리 대신 농가의 생산비와 물류비를 정부가 충분히 지원하고, 지역의 현실에 맞는 특화된 수급관리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