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인데, 스포츠 활동 시에는 부상을 당하지 않도록 항상 조심해야 한다. 특히 과격한 동작은 무릎 관절의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무릎 부상 중 전방십자인대파열이 발병률이 높은 편으로 나타나는데, 전방십자인대파열은 프로 스포츠 선수뿐만 아니라 등산이나 축구 등의 활동적인 여가생활을 즐기는 일반인에게도 흔히 발생하는 질환이다. 전방십자인대파열의 발생 원인은 크게 접촉성과 비접촉성 외상으로 구분되며, 비접촉성 외상에 의한 발생이 80% 이상을 차지한다. 비접촉성 외상은 주로 점프 후의 불안정한 착지나 급작스러운 방향 전환, 외반력, 과신전 등의 동작이 포함된다.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은 “무릎에 충격을 받은 후에 무릎 통증이 느껴지고, 무릎에 부종 및 불안정성, 정강이가 흔들리는 듯한 느낌 등과 같은 이상 증세도 동반되었다면 전방십자인대의 파열을 의심해 볼 수 있다. 경미한 전방십자인대파열은 단순 무릎 염좌로 오인되어 방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조직이 파열된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무릎 관절에 과부하가 생겨 무릎 연골에도 손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방십자인대파열은 이학적 검사 및 MRI 촬영과 같은 정밀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으며, 조직의 파열 양상도 파악이 가능하다. 조직에 경미한 파열만 발생한 상태라면 보조기를 착용하거나 주사요법, 물리치료 등과 같은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그렇지만 전방십자인대의 절반 이상이 파열되었거나 완전히 끊어진 상태라면 새로운 인대를 이식하는 수술이 필요하게 된다”고 전했다.
김상범 원장은 “절대적인 수치로 치료 방향을 정하는 것은 아니다. 환자의 성별과 연령, 직업, 생활방식에 따라 치료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경미한 파열이어도 2차 손상 가능성이 높은 환자는 수술을 고려하며, 조직의 파열이 심해도 합병증 위험이 있는 환자는 비수술적 치료를 먼저 시행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전방십자인대파열 치료 시에는 전문의와의 충분한 상담을 통해 치료 방향을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