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증권은 자본 운용의 핵심 수단으로 활용해온 발행어음의 한도를 거의 소진한 상태이며, 파생결합사채(ELB) 규제 강화 등으로 자본 운용 전략에 비상이 걸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종합투자계좌(IMA) 사업 인가를 추진하고 있지만, 최근 잇따른 내부 통제 부실과 법 위반 논란으로 전망이 불투명하다.
28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한국투자증권의 발행어음 잔액은 지난해 말 기준 17조3163억원에 달하며, 이는 자기자본(9조3169억원)의 두 배인 법정 한도(18조6338억원)에 근접한 수치다. 발행어음은 자본 효율성을 높이는 수단이지만, 이제는 추가 확대 여력이 거의 소진된 상태다.
ELB(파생결합사채) 역시 규제 대상이 되었다. 금융당국은 내년부터 ELS와 함께 ELB에도 레버리지 가산비율을 적용하고, 발행이 늘어날수록 자본비율 규제가 강화되는 구조로 바뀌기 때문이다. 또한, 내부 대여를 통한 자금 운용은 2027년부터 대폭 제한되며, 기존의 자율적인 발행 대금 운용 전략이 차단될 전망이다.
이 상황에서 IMA는 중요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IMA는 자기자본의 100% 범위 내에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으며, 조달금액은 레버리지 비율 산정에서 제외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최근 불거진 리스크가 인가 심사에 부담을 주고 있다.
한국투자증권은 3월 외환거래 매출 과대계상 사실을 자진 정정하면서 논란을 일으켰다. 2019~2023년 사업보고서에서 5조7000억원 규모의 영업수익을 과다 반영한 사실이 밝혀지며, 금감원은 고의성 여부를 포함한 회계 심사를 시작했다. 이 외에도 국고채 입찰 담합 의혹과 부동산PF 관련 무등록 대부업체 알선 혐의 등 내부 통제 부실이 이어지면서, 금융당국의 '건전성'과 '윤리성' 요건을 충족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만약 금융당국이 기관경고 이상의 제재를 내리면, 최소 5년 동안 신사업 진출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IMA 인가를 받더라도 자금 운용에 제약이 따른다. 금융당국은 IMA 자산의 70% 이상을 기업금융에 투자해야 하고, 부동산 관련 투자 비중은 10% 미만으로 제한하고 있기 때문이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IMA는 발행어음처럼 단기간에 몸집을 키우기 어려운 구조"라며, "특히 고위험·고수익 전략을 선호해온 한투증권에는 사업모델 수정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금융당국의 IMA 규제 강화가 한국투자증권의 과거 자산 운용 전략을 염두에 둔 조치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발행어음을 활용한 고수익 자산 투자와 카카오뱅크 지분을 통한 자본 확충 방식이 일부에서 종합금융회사 부실 사태와 유사성을 지적받고 있다. 이는 증권업계가 우려하는 '자본 운용의 안정성'에 대한 문제 제기와도 연결된다.
IMA가 자본 운용의 새로운 수단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규제 환경과 내부 리스크 관리의 철저한 정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