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령 인구가 늘어나면서 퇴행성 질환의 발병률 역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신체 하중을 직접적으로 받으며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무릎 관절은 노화에 따른 손상이 빠르게 나타나는 부위 중 하나다.
무릎 관절염은 관절면을 덮고 있는 골연골 조직이 점차 닳아 없어지면서 무릎 관절에 통증 및 운동 제한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골연골이 손상되면 움직일 때마다 관절 내에서 뼈끼리 충돌하여 극심한 통증이 발생한다. 질환이 지속될수록 뼈도 점점 마모되므로 가급적 빠르게 대처하는 것이 권장된다.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은 “무릎 골연골 손상이 비교적 경미한 편에 속하는 무릎 관절염 초기의 환자는 통증이나 증상이 가벼운 편이다. 이런 경우 대부분 주사 요법 및 물리치료, 운동요법 등의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골연골의 손실이 진행되는 중기의 무릎 관절염 환자는 미세천공술이나 줄기세포 카티스템과 같은 골연골 재생 수술을 적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만약 골연골 손상이 심해 조직이 거의 손실된 상태라면 무릎뼈 끝에 남아 있는 조직을 모두 제거한 뒤 인공적으로 만든 관절을 삽입하는 무릎인공관절 삽입 수술이 고려된다. 환자의 무릎 관절 상태에 따라 손상된 관절의 일부분 또는 전체를 대체할 수 있다. 무릎 관절염 말기의 환자는 수술을 미룰수록 뼈에 추가적인 손실이 나타나게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고 전했다.
김상범 원장은 “무릎 관절염 비수술적 치료 방법 중에 자가골수 줄기세포 주사 치료(BMAC)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 치료는 환자의 장골에서 채취한 골수를 분리하여 농축한 후 이를 무릎 관절 내에 주사하여 골연골의 재생을 촉진하는 방법이다. 주사만으로 진행되므로 절개나 마취가 필요 없어 환자의 부담이 적고, 치료 시간도 짧다. 또한 환자 본인의 골수를 사용하므로 거부 반응의 위험도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