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평힘찬병원이 풍선확장술 시행을 통해 환자들의 통증 감소 및 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고 전해다.
병원 측은 평균 10개월이 지난 척추관협착증 환자 192명을 조사한 결과, 수술을 받은 사례는 단 3건에 불과했다고 전하며 그 중 당초 심한 유착으로 수술까지 고려했던 환자 68명 중 67명은풍선확장술 후 수술을 받지 않고도 현재까지 개선효과가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해당 병원은 풍선확장술을 시행한 환자 192명의 통증평가척도(VAS)를 조사한 결과, 시술 전 7.3점에서 시술 2주 후에는 5.3점, 시술 후 평균 10개월 후에는 4.2점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시간이 지날수록 통증이 점차 감소했으며, 시술 전에 비해 10개월 후에는 약 42.5% 정도 통증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통증평가척도는 환자가 느끼는 통증의 강도를 0에서 10 중에 선택하는 것으로, 10에 가까울수록 통증의 강도가 세다.
또한, 시술 후 허리 기능 개선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 후 통증, 일상생활 능력, 수면, 사회활동 등을 전반적으로 체크하는 허리기능장애지수(ODI;Oswestry Low Back Disability Index) 평가 결과, 시술 전 평균 50.5점에서 시술 후 평균 31.5점으로 약 37.6%가량 개선됐다. 허리기능장애지수는 100점 만점으로, 100점에 가까울수록 기능장애가 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통증이 감소함에 따라 환자들의 우울감 또한 개선됐는데,우울감의 정도는시술 전 평균 2.3점에서 시술 후 평균 3.1점으로 약 34.8%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척추관협착증이 노화에 따른 퇴행성 질환인 만큼 60대 이상이 전체 환자의 76%를 차지했으며, 이 가운데 80대 이상의 고령환자도 18.4%였다.
부평힘찬병원 척추클리닉 박진규 원장(신경외과 전문의)은 “척추관협착증은 허리 디스크(추간판탈출증)와 함께허리 통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척추 질환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척추관협착증 환자는 2018년 약 160만 명에서 2023년 약 182만명으로 5년 사이 약 10.5% 증가했다.특히 60세 이상 노년층의 유병률은 매우 높아 2023년 기준 전체 환자의 84.5%에 해당하는 약 154만 명이 60세 이상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어 “척추관협착증은 척추 주변 인대와 뼈가 두꺼워지는 등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이다.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면 신경 주위에 염증이 생기고, 시간이 지나면서 거미줄 같은 가는 섬유들이 서로 들러붙는 유착이 심해지며 통증의 정도가 커진다. 또한, 유착으로 인해 신경의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면서 염증이 더욱 심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므로, 유착을 효율적으로 제거해주는 것이 치료의 핵심이다”고 전했다.
박진규 원장은 “치료는 보통 운동치료, 물리치료 등 보존적 치료와 신경차단술, 신경성형술, 풍선확장술 등 비수술적 치료를 먼저 시행하고, 호전이 없을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한다. 비수술적 치료 중 신경차단술이나 신경성형술은 심한 유착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전했다.
이어 “신경차단술은 통증을 유발하는 신경 뿌리를 찾아 약물을 주입해 통증을 완화하기 때문에 유착을 물리적으로 제거하기 어렵다. 신경성형술은 꼬리뼈 부위에 작은 구멍을 내고 지름 1mm의 초소형 카테터를 삽입, 손상 부위에 약물을 주입해 염증을 제거하고 신경 유착을 풀어주는 시술이지만, 박리 범위가 제한적이어서 유착이 심한 경우에는 어려움이 있다. 반면, 풍선확장술은 카테터 끝부분에 풍선을 달아 이를 부풀려 유착이 심한 부위에서도 효과적으로 유착을 제거하고 좁아진 척추관을 넓혀준다”고 전했다.
박진규 원장은 “부풀려진 풍선으로 심한 유착부위의 물리적인 박리가 가능해 손상된 부위에 약물을 투입했을 때 더 큰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수술까지 가지 않고도 증상 개선의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전했다.
부평힘찬병원 척추클리닉 서병선 원장(신경외과 전문의)은 “풍선확장술은 카테터를 삽입하는 부분만 국소마취를 하기 때문에 후유증 및 정상 조직의 손상이 거의 없어 고령환자는 물론당뇨, 고혈압, 골다공증 환자 등에게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시술시간은 20분 정도로 보통 2시간 정도 회복 후 바로 거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령환자들에게도 부담이 적다”고 전했다.
이어 “단, 비수술적 치료에도 통증이 호전되지 않거나 운동신경까지 손상을 받아 마비가 발생하거나 통증, 감각저하로 일상생활조차 힘든 경우라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는 것이 좋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