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름철이 되면 관절 통증을 호소하는 이들이 유독 많아진다. 특히 무릎 부위의 통증이 반복된다면 단순한 피로나 일시적 불편함으로 넘기기보다 퇴행성관절염을 의심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무릎은 체중을 지탱하고 움직임을 조절하는 데 있어 가장 많은 부담이 실리는 관절이기 때문에 시간이 흐르면서 마모가 빠르게 진행되기 쉽다.
퇴행성관절염은 말 그대로 관절의 퇴화로 인해 연골이 닳고, 관절 주변 구조물에도 손상이 발생하면서 통증과 염증이 동반되는 질환이다. 관절 연골은 혈관이 없어 자연적으로 재생되지 않기 때문에 손상되면 서서히 기능이 저하되고, 치료 없이 방치할 경우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의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무릎 관절은 걸을 때, 앉았다 일어날 때, 계단을 오르내릴 때 등 끊임없이 사용되므로 퇴행성 변화가 가장 먼저 나타나는 부위 중 하나다. 고령층에서 흔하게 발생하는 질환이지만 최근에는 과체중, 무리한 운동, 바르지 못한 자세, 운동 부족 등으로 인해 30~40대 젊은 층에서도 발병이 늘고 있다. 특히 여름철에는 운동을 갑자기 시작하거나 야외 활동이 잦아지면서 무릎에 가해지는 하중이 커지고, 이로 인해 통증이 악화되는 사례가 많다.
영주 에이스통증의학과 정유선 원장은 “초기 퇴행성관절염은 통증이 간헐적으로 발생하고 무릎이 뻣뻣해지는 느낌이 든다. 계단을 오를 때 무릎이 시큰거리거나, 장시간 앉은 뒤 일어설 때 관절이 뻣뻣하게 느껴지는 증상이 주로 나타난다. 질환이 중기로 진행되면 관절의 운동 범위가 줄어들고, 무릎이 붓거나 열감이 동반되기도 한다. 말기에는 연골이 심하게 닳아 무릎이 O자 형태로 변형되고, 간단한 걷기조차 어려워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초기에 발견하고 치료를 시작하면 비수술적 방법으로도 충분히 호전이 가능하다.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가 체외충격파 치료다. 이는 체외에서 병변 부위에 강한 에너지의 충격파를 가해 조직을 자극하고, 손상된 조직의 재생을 유도해 염증을 완화하는 치료법이다. 마취나 절개 없이 진행되기 때문에 시술에 대한 부담이 적고, 회복 기간이 짧아 직장인이나 고령 환자들도 부담 없이 치료받을 수 있다”고 전했다.
정유선 원장은 “체외충격파는 염증 완화뿐 아니라 혈류 개선과 통증 조절에도 효과를 보인다. 무릎 관절염뿐 아니라 힘줄, 인대 손상, 스포츠 손상 환자에게도 널리 활용된다. 다만 일부 환자에게는 일시적인 통증 증가나 피부 자극, 가려움증이 발생할 수 있어 반드시 전문가의 진단 하에 진행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퇴행성관절염은 한 번 손상되면 원상태로 되돌리기 어려운 질환인 만큼, 통증을 느낀다면 조기 진단과 꾸준한 치료가 중요하다. 동시에 체중 조절, 무릎에 무리가 가지 않는 운동 습관, 바른 자세 유지 등의 생활 관리도 병행돼야 한다. 특히 무릎을 꿇거나 다리를 꼬는 자세는 피하고, 장시간 같은 자세를 유지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전했다.
여름철 무릎 통증을 단순한 계절성 불편함으로 여기지 말고, 반복되는 통증이 있다면 전문의의 진료를 통해 퇴행성관절염 여부를 확인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