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1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CJ올리브영, 중기 제품 유사품 판매하다 ‘제동’…상장 앞두고 악재 발생

 

기업공개(IPO)를 추진 중인 CJ올리브영이 중소기업의 제품을 모방한 정황으로 법적 제재를 받으며 도마에 올랐다. 법원은 CJ올리브영이 판매한 마스크팩 제품이 한 중소기업의 기술과 형태를 실질적으로 베꼈다고 판단, 판매 중단을 명령했다.

 

유통 대기업의 이른바 '기술 탈취' 문제가 다시 부각되면서, 이선정 대표의 국정감사 증인 채택 가능성도 제기된다.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지난 6월, 중소기업 A사가 CJ올리브영을 상대로 제기한 마스크팩 판매금지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였다. A사는 3년에 걸친 독자 연구 끝에 턱과 볼을 끌어올리는 리프팅 밴드가 결합된 마스크팩을 개발해 2023년 초 시장에 출시했다.

 

해당 제품은 출시 이후 시장에서 뜨거운 반응을 얻으며, 4개월 만에 120억 원이 넘는 매출을 올렸다. 그러나 이듬해 CJ올리브영이 유사한 구조의 제품을 출시했고,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시장을 빠르게 잠식했다.

 

A사는 CJ 측 제품이 자사 제품을 모방한 것이라고 판단해 부정경쟁방지법 위반 혐의로 법적 대응에 나섰고, 법원은 “양 제품의 외형과 기능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며 A사의 손을 들어줬다. 이 판결에 따라 CJ올리브영은 제품 생산을 중단했고, 7월 초부터는 판매도 완전히 중지했다.

 

피해 입은 중소기업 '매출 90% 급감'… 사전 대응도 못 해

 

A사 측은 “소송 중인 사안이라 사전 대응이나 마케팅 방어가 사실상 불가능했다”며, “올해 매출은 전년의 10% 수준도 달성하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실제로 해당 기업의 2024년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0% 이상 감소했다.

 

CJ올리브영은 "법원의 판단을 존중한다"고 밝히면서도 "제품 유사성은 있었지만, 의도적인 모방이나 아이디어 도용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반복되는 갑질 논란…이번엔 국감 증인 채택될까

 

CJ올리브영의 거래 행태에 대한 논란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23년과 2024년에도 유사한 ‘납품업체 갑질’ 논란이 제기됐고, 이선정 대표는 국정감사 증인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가 막판에 제외되기도 했다.

 

현재 진행 중인 공정거래위원회 제재건 역시 주목을 받고 있다. 공정위는 CJ올리브영이 자사 판촉 행사 기간 중 납품업체에 경쟁사 행사 참여를 제한하도록 요구하고, 행사 후 정상가로 제품을 판매하면서도 가격 차액을 돌려주지 않은 점 등을 문제 삼았다. 과징금 19억 원이 부과됐으며, CJ올리브영은 이에 불복해 소송을 제기, 대법원 판결을 앞두고 있다.


IPO 앞둔 CJ올리브영, '공정경제' 기조와 충돌

 

중소기업과의 공정한 거래를 강조해온 현 정부 기조와도 CJ올리브영의 행보는 충돌한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당시 “중소기업의 기술을 훼손하는 대기업은 시장에서 퇴출시켜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상장을 준비 중인 CJ올리브영이 반복되는 기술 모방 논란과 유통 갑질 이슈를 해소하지 못할 경우, 시장과 당국의 신뢰 확보에 적잖은 타격이 예상될 것으로 보인다.

배너
배너

포토이슈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