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4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K9 자주포 화재사고 8년, 난연성 전투복 보급은 49,700명 불과

- 장갑차 승무원·조종사 등 고위험군 일부에만 보급
- 일반 병사는 여전히 화상 취약 소재 전투복 착용 중

 2017년 K9 자주포 폭발 사고 등 차내 화재로 7명이 화상을 입고 그 중 3명이 사망한 지 8년이 지났지만, 우리 군의 난연성 전투복 보급은 여전히 제한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황희 의원(서울 양천갑)이 국방부 및 육·해·공군본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군에 보급된 난연성 전투복은 5만 명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급 현황을 보면 △육군 궤도차량승무원복 26,000명 △해군 함상복 16,000명, 비행복 700명 △공군 비행복 4,300명 △해병대 궤도차량승무원복 2,500명, 비행복 200명로 총 49,700명에 불과했다.

 

 전차·자주포·장갑차 승무원, 공군부대 조종사 등 고위험군 중심의 특수 보직에게만 난연성 전투복이 보급되고 있는 것으로, 전체 장병 규모를 고려할 때 극히 일부에게만 안전장비가 제공되고 있는 셈이다.

 

 현재 육군 등 대다수 일반 장병들이 입는 전투복의 소재는 사계용이 폴리에스터 73%, 레이온 23%, 하계용이 폴리에스터 70%, 레이온 30% 혼방 소재로 구성되어 있어, 전시 전투복으로서의 난연 기능이 매우 제한적이다. 폴리에스터 등 화학섬유는 불에 노출되면 녹아내리며 유독가스를 발생시켜 화상 피해를 가중시킨다. 실제로 2019년에는 주머니의 전자담배가 폭발하면서 병사가 중화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화염에 노출돼도 녹지 않아 2차 화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만들어진 노멜트 노드립(NO melt, NO drip) 전투복 연구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화재 발생 시 전투복이 녹아내리거나 액체 방울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기술로, 화상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다.

 

 황희 의원은 “훈련과 실전에서 화재와 열로부터의 보호는 생명과 직결된 문제”라며, “난연성 피복 보급은 비용이 아니라 투자인 만큼, 난연성 전투복을 전군으로 확대 보급해 병사 생명과 전투력 손실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배너

포토이슈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