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 절반 이상은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진행된 한미 관세협상과 관련한 정부 대응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협상 결과가 국내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10명 중 8명 이상이 우려를 표해, 국민들의 불안감이 여전히 큰 것으로 분석됐다.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국회 산자중기위, 인천 동구미추홀구갑)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시그널앤펄스에 의뢰해 지난 21~22일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정부 대응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은 53.4%로, 부정 평가 42.6%보다 10.8%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광주·전라가 긍정 평가 77.4%로 가장 높았고, 대구·경북은 부정 평가 61.6%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과반을 기록했다.
세대별로는 40대(긍정 65.8%)와 50대(긍정 60.3%)가 긍정 평가를 주도한 반면, 20대에서는 부정 평가가 63.9%에 달해 가장 비판적이었다.
정부의 대응 기조에 대한 질문에서는 전략적 실리 확보(55.5%)가 단호한 국익 수호(39.8%)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20대(75.8%)와 서울(63.9%)에서 전략적 실리 확보 응답이 두드러져, 국민들이 강경한 대응보다는 유연하고 실용적인 협상 태도를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협상 결과에 대한 우려는 여전했다.
관세협상 결과 국내 경제 악영향 우려 수준에 대해 ‘우려된다’는 응답은 83.8%에 달했으며, 긍정 평가 응답층에서도 75.1%가 악영향을 우려한다고 답했다.
허종식 의원은 “국민 절반 이상이 정부의 유연하고 실리적인 대응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며 “이는 강경론보다 실리 외교를 바라는 민심이 반영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하지만 83.8%가 경제적 악영향을 우려하고 있는 만큼, 정부는 협상 결과가 국내 민생과 경제에 미칠 충격을 최소화하는 데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는 무선 RDD ARS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 ±3.1%p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