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육 7월 육계 병아리 입식 마릿수 전년대비 증가 전망 7월 병아리 입식 마릿수는 전년대비 1.8% 내외 증가한 7,190만~7,331만 마리 추정된다. 8월 병아리 입식 마릿수는 전년대비 1.0% 내외 감소한 6,056만~6,178만 마리 전망된다. ■ 도축 8월 육계 도축 마릿수 전년대비 증가 전망 8월 육계 도축 마릿수는 전년대비 2.8% 내외 증가한 6.953만~7,090만 마리 전망된다. 입식 마릿수 증가로 도축 마릿수 증가가 전망된다. 9월 육계도축 마릿수는 전년대비 0.4% 내외 감소한 5,942만~6,063만 마리 전망된다. 작업일수 감소로 총도축 마릿수는 감소하고 일평균 도축 마릿수는 전년 대비 4.6% 증가가 전망된다.
■ 사육 6월 육계 병아리 입식 마릿수 전년대비 증가 전망 6월 병아리 입식 마릿수는 전년대비 4.5% 내외 증가한 7,264만~7,411만 마리 추정된다. 7월 병아리 입식 마릿수는 전년대비 1.1% 내외 증가한 7,139만~7,283만 마리 전망된다. 종계, 성계 사육 마릿수 또한 증가가 추정된다. ■ 도축 7월 육계 도축 마릿수 전년대비 증가 전망 7월 도축 마릿수는 전년대비 4.4% 내외 증가한 6,956만~7,097만 마리로 전망된다. 병아리 입식 마릿수 및 작업 일수 증가로 도축 마릿수 증가가 전망된다. 8월 도축 마릿수는 전년대비 1.0% 내외 증가한 6,830만~6,969만 마리로 전망된다.
최근 한식의 위상과 인기가 점차 높아짐에 따라 해외 주요 국가에서 한식당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게 됐다. 한식진흥원이 작년 하반기 진행한 ‘2023 해외 한식 소비자 조사’에 따르면, 일상적인 식사를 위해 한식당을 찾는 외국인이 전년 대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식진흥원은 외국인의 한식 소비 행태와 트렌드를 분석하기 위해 지난해 8월부터 10월까지 약 두 달간 뉴욕, 상하이, 자카르타 등 해외 주요 18개 도시에 거주 중인 현지인 9,000명(20~59세)을 대상으로 ‘해외 한식 소비자 조사’를 실시하고, 대륙별 한식당 방문 경험과 만족도, 재방문 의사 등에서의 변화 추이를 발표했다. ◆ 응답자 절반 이상, 최근 1년 내 한식당 방문 경험 있어 최근 1년 내 한식당에 방문한 경험이 있는 외국인은 64.6%로 응답자의 절반을 훌쩍 넘었다. 대륙별 한식당 방문 경험 추이를 살펴보면 오세아니아·중남미·중동 지역의 한식당을 방문한 외국인들의 비율은 52.3%로 전년 대비 2.1%p 증가했으며, 나머지 대륙은 소폭 감소했다. 한식당 방문 경험 비율이 가장 높은 대륙은 동남아시아가 84.6%로 1위를 차지했으며, 동북아시아(74.7%), 북미(58.6%), 오세
선제적 수급대책으로 수확기쌀값 20만원 회복 재해복구, 경영비 지원, 농업직불금 확대 등 기여 지난해 농가소득이 처음으로 5000만 원을 돌파했다. 24일 발표된 통계청 ‘2023년 농가경제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3년 농가소득은 5,083만원으로 전년 대비 10.1%(467만원) 증가했으며, 처음으로 5천만원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농업소득] 농업총수입이 전년 대비 9.6%(332만원) 증가하고 농업경영비는 6.6%(166만원) 증가함에 따라, 농업소득은 17.5%(166만원) 증가한 1,114만원을 기록했다. 정부의 선제적 수급대책에 따라 수확기쌀값이 20만원 이상으로 상승(2022: 187,268원/80kg → 2023: 202,797)하는 등 농작물수입은 전년 대비 10.3%(257만원) 증가했다. 또한, 자연재해로 인한 수확량 손실을 보상하는 재해보험금 지급액이 전년 대비 80% 증가했고, 지난해 6~7월 집중호우·태풍 피해가 큰 농가에 기존 대비 3배 수준의 재해복구비가 지원되는 등 농업잡수입은 70%(32만원) 증가했다. 지난해 정부는 역대 최대 규모 외국인력 배정(2022: 2.6만명 → 2023: 5.0) 등 농번기 인력 공급 확대
한식진흥원이 지난 하반기 실시한 ‘2023 해외 한식 소비자 조사’에 따르면, 최근 2년 간 소주를 경험해 본 외국인 비율이 전년 대비 1.4%p 증가하고, 한국 주류 섭취 의향도 4.3%p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쉽고 간단하게 즐길 수 있는 한식 간편식의 인지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는 한편, 외국인들이 가장 먹고 싶은 한식 간편식 메뉴로는 ‘비빔밥’이 1위를 차지했다. 한식진흥원은 2023년 8월부터 10월까지 약 2달간 외국인들의 한식 소비 현황과 트렌드 분석을 위해 북경, 호치민, 뉴욕 등 해외 주요 18개 도시에 거주 중인 20~59세 현지인 9,000명을 대상으로 ‘해외 한식 소비자 조사’를 진행했다. 이를 통해 해외에서의 한국 주류 인지도와 섭취 경험, 한식 간편식 인지도와 이용 경험 등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자. ◆ 외국인이 가장 잘 아는 술 ‘소주’… 동남아시아 인지율 가장 높아 외국인들이 가장 잘 알고 있는 한국의 술은 소주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 주류 중 알고 있는 주류가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41.1%가 소주라고 답했으며, 이어 맥주(31.6%), 과실주(22.8%), 청주(17.9%), 탁주(14.5%) 순이었다. 대륙
■ 사육 4월 병아리 입식 마릿수 전년대비 4.6% 내외 증가한 6,905만~7,038만 마리로 추정된다. 5월 병아리 입식 마릿수는 전년대비 3.8% 내외 감소한 6,385만~6,519만 마리로 전망된다. 성계 사육 마릿수 감소(2023년 7~9월 누적 종계 입식 마릿수 전년대비 10.9% 감소) ■ 도축 5월 도축 마릿수는 전년대비 4.8% 내외 증가한 6,701만~6,830만 마리로 전망된다. 6월 도축 마릿수는 전년대비 3.6% 내외 감소한 6,246만~6,377만 마리로 전망된다. 작업 일수 감소로 총 도축 마릿수가 감소했으며 일평균 도축 마릿수는 전년대비 2.8% 증가가 전망된다. 이에 따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철저한 사양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사육> 9~10월 육계 병아리 입식 마릿수 전년대비 증가 추정 9월 병아리 입식 마릿수는 전년대비 1.6% 내외 증가한 6,641~6,775만 마리 추정된다. 10월 병아리 입식 마릿수는 전년대비 3.0% 내외 증가한 6,836~6,971만 마리 전망된다. 7~8월 성계 사육 마릿수 증가 및 종란 수입으로 병아리 입식 증가 전망된다. <도축> 10~11월 육계도축 마릿수 전년대비 증가 전망 10월 도축 마릿수는 전년 수준인 6,498~6,628만 마리 전망된다. 육성률은 전년대비 하락 전망된다. 11월 도축 마릿수는 전년대비 2.2% 내외 증가한 6,685~6,817만 마리 전망된다. 다만, 고병원성 AI 발생 상황에 따라 도축 마릿수 변동 가능하다.
■ 사육 7~8월 육계 병아리 입식 마릿수 전년대비 감소 추정 7월 병아리 입식 마릿수는 전년대비 3.2% 내외 감소한 7,191~7,343만 마리 추정된다. 8월 병아리 입식 마릿수는 전년대비 0.7% 내외 감소한 6,591~6,728만마리 전망된다. 종계 성계 사육 마릿수는 증가했으나 생산성 하락이 예상된다. ■ 도축 8~9월 육계 도축 마릿수 전년대비 감소 전망 8월 도축 마릿수는 전년 대비 4.5% 내외 감소한 6,810~6,954만 전망된다. 9월 도축 마릿수는 전년 대비 2.2% 내외 감소한 6,373~6,505만 마리 전망된다. 평년 대비 도축 마릿수 감소폭은 8월에서 9월로 가면서 축소가 전망되고, 8월 육계 공급량은 감소하나 삼계 공급량은 전년 및 평년 대비 증가가 전망된다.
닭고기 수급안정을 위한 계열화 업체의 입식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KREI 7월 육계전망을 통해 이같이 예측하고 7~8월 육계 도축 마릿수는 전년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 사육 6~7월 육계병아리 입식 마릿수가 전년 대비 감소가 추정된다. 6월 병아리 입식 마릿수는 전년대비 1.6% 내외 감소한 7,214~7,364만마리로 추정된다. 7월 병아리 입식 마릿수는 전년대비 3.2% 내외 감소한 7,087~7,236만 마리로 전망된다. 평년 대비 입식 마릿수 감소폭은 6월(-6.0~-4.1%)에서 7월(-1.5~0.6%)로 가면서 대폭 축소가 전망된다. ■ 도축 7~8월 육계 도축 마릿수는 전년대비 감소될 것으로 보인다 7월 도축 마릿수는 전년대비 2.6% 내외 감소한 6,917~7,061만 마리 전망된다. 8월 도축 마릿수는 전년대비 4.2% 내외 감소한 6,829~6,973만 마리 전망된다. 전년 8월 공급량이 많아 감소폭이 확대돼 평년대비 1.5% 내외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생산비 상승 영향 젖소 마리당 순이익 급격히 하락 젖소사육두수·원유생산량 감소세…생산기반 붕괴조짐 전문가들 “올해 원유가격 조정 불가피” 한목소리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승호)는 사료가격 폭등 등 생산비 상승으로 낙농가의 목장 경영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고 9일 밝혔다. 낙농진흥회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낙농가수는 4,600호로 전년대비 133호(4.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2년사이 폐업한 낙농가수가 300여호에 달한다. 낙농업계에 따르면 사료비 등 생산비가 급등하면서 경영난을 견디지 못해 낙농가 폐업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통계청이 지난 5월 26일 발표한 ‘2022년 축산물생산비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2년 우유생산비는 2021년 대비 115.76원(13.7%) 상승한 958.71원/L로 나타났다. 우유생산비 증가액(116원)의 84%는 사료비(81원↑, 70.1%)와 부산물 수입(16원↓, 13.9%)이 차지하고 있다. 젖소용 배합사료 평균가격은 2021년(525원/kg) 대비 2022년(645원/kg) 22.9% 상승했으며, 젖소 수송아지(1주일령) 산지가격은 2021년(537천원) 대비 2022년(169천원) 68.5%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