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은 12월 31일자로 서효원 차장을 인사발령했다. 주요 프로필 ▲ 1966년 강원 양양 출생 ▲건국대학교 생물학과 졸업, 생명과학과 박사 ▲ 연구사 공채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연구팀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화훼과장 ▲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장 ▲ 농림축산검역본부 식물검역부장 ▲ 농촌진흥청 농촌지원국장 ▲ 국립식량과학원장
◇ 본사 부서장 등 ▲ 비서실장 박재근 ▲ 홍보실장 박찬수 ▲ 기획조정실장 김경한 ▲ 디지털혁신처장 권병해 ▲ 비상계획실장 박재홍 ▲ 기반사업처장 심재학 ▲ 기반계획처장 예창완 ▲ 글로벌사업처장 김성경 ▲ 수자원관리처장 박진현 ▲ 수자원시설처장 김재식 ▲ 환경관리처장 이승헌 ▲ 지하수지질처장 전병칠 ▲ 농촌공간계획처장 강신길 ▲ 농지은행처장 하태선 ▲ 총무인사처장 서선희 ▲ 인재개발원장 신홍섭 ▲ 농어촌자원개발원장 김영배 ▲ 안전진단본부장 이희억 ▲ 화안사업단장 전용주 ▲ 금강사업단장 조현찬 ▲ 새만금사업단장 김동인 ▲ 새만금산업단지사업단장 안재호 ▲ 토지개발사업단장 박갑순 ▲농어촌연구원 연구기획실장 박영진 ▲농어촌연구원 미래농어촌연구실장 노경환 ▲농어촌연구원 물안전환경연구실장 강석만 ◇ 지역본부장 ▲ 경기지역본부장 김종성 ▲ 강원지역본부장 김명일 ▲ 충북지역본부장 최현수 ▲ 충남지역본부장 이민수 ▲ 경북지역본부장 김우상 ▲ 경남지역본부장 손영식
□ 전보 ▲김성곤 식품안전정책국장 ▲김상봉 의약품안전국장 ▲채규한 의약품안전국 마약안전기획관 ▲이남희 의료기기안전국장 ▲강석연 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장 ▲김명호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장
▣ 고위공무원(직위승진) ▲ 조은희 충청북도 농업기술원장 ▣ 과장급(직위승진) ▲ 채의석 농촌지원국 재해대응과장 ▣ 과장급(전보) ▲ 김지성 농촌지원국 기술보급과장
윤석열 대통령은 4일 차기 농식품부 장관에 송미령 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원장을 내정했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 후보자는 “어려운 시기에 농식품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되어 엄중한 책임을 느낀다”며 “농자재·비료·유류 등 경영비 상승에 대응해 농업인을 위한 소득·경영안정장치를 강화하면서 수급 불안이 반복되는 농산물 가격을 안정시켜 소비자 여러분의 근심을 조금이나마 덜어드리는 것이 농식품 정책의 급선무”라고 전했다. 이에 “역량과 열정을 가진 청년들이 농촌에 유입될 수 있도록 우리 농업을 생산성과 부가가치 높은 미래성장산업으로 혁신하고, 지역소멸에 대응해 우리 농촌을 살고, 일하고, 쉴 수 있는 가치있는 공간으로 만들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 후보자 프로필 ▲ 서울 창덕여고·이화여대 정치외교학과·서울대 도시계획학 석사·행정학 박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원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본부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환경연구본부 선임연구위원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농어촌분과위원회 위원 ▲농림축산식품부 정책자문위원회 위원
< 과장급 전보 > ▲ 안종현 농림축산검역본부 인천공항지역본부 특수검역과장 ▲손경문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기획조정과장 ▲전익성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직불관리과장 ▲김전호 농식품공무원교육원 교육기획과장 ▲이경일 국립종자원 충남지원장 ▲서봉열 국립종자원 경북지원장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김춘진)는 21일 신임 상임이사(수급이사)에 문인철 전 로이슈 대표이사를 선임했다고 밝혔다. 문인철 신임 수급이사는 전남 화순군 출신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성균관대학교 경제학부 겸임교수, 국회 정책연구위원, 인터넷 언론사인 로이슈 대표이사를 역임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해왔다. 문 수급이사는 국민 먹거리 농산물 수급 안정을 위한 수급관리, 비축사업, 식량관리 부서를 총괄한다.
▣ 고위공무원(직위승진) ▲ 박기도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장 ▣ 과장급(직위승진) ▲ 고지연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생산기술개발과장 ▣ 과장급(전보) ▲ 고종철 국립식량과학원 간척지농업연구팀장 ▲ 이병규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중부작물과장
< 과장급 전·출입 > ▲신우식 원예산업과장 ▲유원상 주오이시디대표부 1등서기관
한국임업진흥원(원장 이강오)은 17일, 신임 최돈하 상임이사를 임명하고 취임식을 개최했다. 최돈하 상임이사는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장, 목재문화진흥회 상임부회장 등을 역임하며 국내 임산업 발전에 기여해왔다. 신임 최돈하 상임이사는 “다양한 정책연구 경험과 임산업계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임업인 소득증대 및 임업의 산업화 촉진에 기여할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