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조기원)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와 함께 ‘2021년 식·의약 데이터 활용 경진대회’ 아이디어 공모를 오는 6월 20일까지 접수중이다. 공모분야는 ▲창업 ▲정책제안 두 부문이며, 데이터 활용에 관심 있는 국민 누구나 ‘식의약 데이터 포털’을 통해 내용을 확인하고 참가할 수 있다. ’20년 식의약 데이터를 활용한 창업경진대회로 시작된 공모전은 식약처와 산하기관이 보유한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창업촉진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목적으로 개최하고 있으며, ’21년에는 정책제안 부문을 신설해 HACCP인증원이 핵심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 HACCP*에 대한 아이디어를 발굴하여 식품안전관리의 고도화 방안 마련에 활용하고자 한다. 수상작은 1차 서류심사(7월)와 2차 발표평가(9월)를 통해 선정되며, 상금과 함께 식약처장상, HACCP인증원장상이 수여되며 우수작은 행정안전부가 주최하는 ‘제9회 범정부 공공데이터 활용 창업경진대회’ 참가자격도 부여된다. 조기원 원장은 “이번 경진대회가 식의약 분야의 창업 및 일자리 창출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특히, 스마트 HACCP 등 식품산업의 디지털화 촉진에 대한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 이하 농식품부)는 영양학적으로 우수하고 웰빙식인 밥 중심의 건강 식생활을 널리 알릴 수 있도록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굴을 위하여 대국민 공모전을 실시한다고 밝혔다.이번 공모전을 통해 선발된 우수 홍보 아이디어는 쌀 소비 촉진을 위한 공익광고(신문, 방송, 잡지, 인터넷 등), 포스터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예정이다.쌀 소비가 감소하는 원인은 쌀 대신 육류 등 먹을거리가 다양화되고 풍부해진 점에도 있지만, 무엇보다 밥(쌀)이 비만과 당뇨병 등의 원인이라는 잘못된 인식에 있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그러나 쌀은 식이섬유, 비타민, 무기질 등이 풍부하고 좋은 단백질이 들어 있어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하며, 채소·나물· 김치·된장 등과 같이 먹을 수 있어 건강한 식생활의 기본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이번 공모전은 홍보 아이디어, 슬로건, UCC, 우수 교육 사례 등 4개 분야로 나뉘어 진행되며, 공모전 누리집(www.ricecontest.com)을 통해 누구나 참여가 가능하다.우수한 성적을 거둔 출품작에는 농림축산식품부장관상을 비롯한 상장과 상금이 수여된다.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공모전이 밥 중심의 건강한 식생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