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원장 이종순)은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농정을 위하여 항공영상 등을 기반으로 구축한 팜맵(농경지 전자지도)을 전 국민에게 28일부터 전면 개방한다고 밝혔다. 팜맵은 토지 소유권을 도면에 구획한 지적도와 달리, 항공 영상 등을 활용하여 실제 경작하는 토지에 대한 면적, 속성(논, 밭, 시설, 과수) 등을 구획한 지도로, 그간, 정부·지자체·연구기관 등에서 팜맵을 경지면적 조사, 농경지 점검 및 작물 실태 조사 등에 활용해 왔다. 이번 개방은 공공기관의 데이터 개방 확대에 발맞춰 ‘20년 지자체 공무원 대상 팜맵 서비스 개방에 이어, 올해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 범위를 확대했다. 별도의 회원가입 필요 없이 누구나 손쉽게 농경지의 이용 면적, 속성(논, 밭, 과수, 시설)의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모바일 기반 서비스도 함께 제공될 예정으로 경작지 정보를 필요로 하는 민간분야에서 널리 활용될 것으로 보이며, 특히, 농업인에게 인근 지역의 팜맵을 제공하여 농경지 활용에 의사결정 기반 자료로 활용되고, 무인 농기계 운영(자율주행) 관련 업계에는 드론 및 트랙터 등 운행좌표로 활용되어 정확한 방제 및 운영에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원장 신명식)은 (사)한국마늘연합회(회장 이창철)와 팜맵을 활용한, 마늘품목 수급관리 효율화 기반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2010년 출범한 마늘협회는 2020년 7월에 의무자조금단체로 전환 되었으며, 농업인 13만명과 농협 100여개 단체가 참여하는 생산자 단체로 현재 마늘의 전국 생산량 90%를 차지하고 있다. 이번 협약은 마늘 재배면적 조사·관리 체계를 팜맵 기반으로 구축·운영하여 마늘품목의 생산·수급관리의 체계를 선진화하기 위함이다. 팜맵은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정원에서 현장을 반영한 농경지 전자지도로, 농경지에 대한 위치·면적 정보 등을 신뢰성 있는 공간정보 형태로 제공한다. 항공 및 위성영상, 현장실사 등을 통해 최초의 전국 농경지 현실경계 정보인, ‘팜맵’을 ‘16년도에 구축 완료하였으며, 이후 지속적으로 해당 정보를 갱신 해오고 있다. 농정원은 “마늘 재배면적 조사에 팜맵을 활용할 경우, 실제 농경지의 형상을 나타낸 전자지도를 기반으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재배면적 산출이 가능하다”고 전했다. 이를 통해 농경지 운용현황 정보의 수집·활용 체계를 한 단계 발전시킬 것으로 전망한다. 최상은 마늘협회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원장 신명식)은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영농을 위해 구축한 농식품 공간 정보 서비스를 지난달부터 지자체 및 유관 공공기관이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방했다고 밝혔다. 농식품 공간 정보 서비스는 ‘팜맵’을 기반으로 다양한 농업정보와 통계를 지도상에서 제공한다. 팜맵은 농경지의 실제 이용 현황을 지도에 표시한 것으로, 토지 소유 권리를 도면화한 지적도와는 달리 농경지 구분(논, 밭, 과수, 시설, 인삼), 농경지 이용면적, 경지정리 유무, 재배면적의 변화 등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웹사이트를 통해 팜맵과 농업 행정 및 각종 통계를 융합한 정보를 시각화된 자료로 제공함으로써 농식품 국가인증 취득 농가 분포 현황, 재해보험 가입 필지 정보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에는 업무담당자가 개별정보를 일일이 파악해야 했지만, 이제 웹사이트에서 조회하면 농경지 현황과 농가 정보 등이 종합적으로 표시된 지도를 통해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됐다. GAP인증을 위해 토양검정 정보가 필요하다면 해당 서비스를 통해 500M 이내에 토양적합필지 존재 여부를 파악할 수 있어 중복심사를 피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재해보험 가입 업무를 진행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