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3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농업 / 산림

“바위솔, 다육이가 아닙니다”… 한국바위솔협회 용설 회장, 식물의 저력 알리며 대중화 앞장

 

“다육이로 오해받기엔 억울합니다. 바위솔은 영하 30도에서도 견디는 강한 생명력을 지닌 우리 땅의 귀한 식물입니다”


한국바위솔협회 용설 회장이 꺼낸 말이다.

 

그는 ‘바위솔’이라는 이름조차 생소한 이 식물의 저변 확대에 팔을 걷어붙였다.

 

유튜브 채널 ‘용설TV’를 개설하고, 민간자격증을 발급해 강사 양성과 체험 교육에 주력하는 등 활발한 홍보 활동을 펼치고 있다.

 

바위솔은 돌나물과 식물로, 흔히 ‘와송’으로 불린다. 바위에 붙은 솔잎 모양이라는 이름 그대로, 외관은 작고 단단하며 겨울이면 더 짙은 자태를 뽐낸다.

 

 

국내에는 약 70여 종의 자생종과, 외래종인 샘퍼비붐(Sempervivum) 4천여 종이 분포해 있다. 30여 년 전부터 국내에 본격 도입됐지만, 최근 다육이 시장의 확산 속에 그 존재감은 다소 퇴색한 상태다.

 

이에 용 회장은 “바위솔은 단순한 관상용 식물이 아닌, 건강과 직결된 기능성 식물”이라고 강조한다. 과거 자동차 부품 사업에 종사하던 그는 건강 악화로 전원생활을 시작했고, 그 과정에서 바위솔과 인연을 맺었다.

 

특히 바위솔의 섭취를 통해 갑상선 건강을 회복한 체험은 그의 삶의 전환점이 되었다.

 

“취미 삼아 시작했지만, 어느새 생업이 됐습니다. 무엇보다도 바위솔은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죠.”

 

용 회장은 4년 전 협회를 창립해 전국에 10개의 지부를 두고 본격적인 보급 활동에 나섰다.

 

바위솔 강사 자격증을 취득한 회원들이 자택 등지에서 소규모 강의를 통해 바위솔을 알리는 데 힘쓰고 있다. 체험 학습도 활발히 운영 중이며, 특히 초등학생과 어르신을 대상으로 한 교육은 세대 간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일조하고 있다.

 

“다육이는 겨울철 난방이라는 물리적·경제적 부담이 있지만, 바위솔은 별도의 온실 없이도 노지에서 생육이 가능해 서민들도 쉽게 키울 수 있습니다. 배수만 잘되면 어떤 토양에서도 잘 자라죠.”

 

바위솔은 특히 겨울철 눈 속에서도 생장 발육이 뛰어나며, 이 시기 수확한 바위솔은 영양 가치 또한 탁월하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아울러 바위솔에는 자체 ‘부동액’ 성분이 있어 냉해에도 잘 견디며, 기후 위기 시대에 부합하는 탄소중립형 식물로도 주목받고 있다.

 

용 회장은 “바위솔은 건강기능성 식품, 차(茶), 대체 건강식품 등으로의 활용 가능성도 무궁무진하다”며, 바위솔 산업이 농업의 미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믿음을 드러냈다.

 

그는 앞으로도 전국 어디서나, 누구나 바위솔을 재배하고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물심양면으로 협력할 계획이다. “바위솔을 알리는 건강 전도사라면 누구든 환영입니다. 다육이가 아닌 바위솔의 진가, 이제 온 국민이 알 때가 됐습니다”

 

배너
배너

포토이슈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